주요 임무
우주측지그룹은 GNSS, VLBI, SLR과 같은 정밀 우주측지 관측기술을 사용하여 지구와 천구의 시공간 기준계 결정 기술과 자연 재해에 대응하기 위한 지구 변화 정밀 분석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우주측지그룹은 국제 GNSS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대한민국 공식 역서를 발간하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
GNSS 및 측지 VIBI와 SLR과 같은 우주기술로 지구의 고정밀 시공간기준계를 결정하고 감시하는 우주측지연구와 천체의 운행과 관련된 시공간 정보를 제공하는 천체력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우주측지기술로 지구변화를 상시 감시하여 지진과 기후변화에 따라 급증하는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활용연구도 수행하고 있음
- GNSS 상시관측망과 IGS 글로벌 데이터 센터와 같은 우주측지 인프라 운영과 고정밀 GNSS 자료처리 기술 개발
- 우주측지기술을 바탕으로 한 지구의 고정밀 시공간기준좌표계 결정과 변화 감시
- 천문역법 연구를 통한 국가천문역법 계산과 생활천문 정보 제공
- 우주측지기술을 이용한 자연재해 감시 및 대응 연구
대표 성과
고정밀 절대위치 결정 기술 개발
미국의 GPS와 러시아의 GLONASS 항법위성 관측 자료를 통합 처리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1cm 미만으로 정밀하게 산출하는 핵심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
대전 상시 관측소 위치 정확도
일본 대지진에 의해 발생한 동아시아 지역 지각 변위 산출
한국천문연구원이 운영하고 있는 국내 9개 GNSS 상시 관측소 자료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 GNSS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일본 도호쿠 대지진으로 한반도가 최대 5cm 까지 동쪽으로 이동하였음을 국내 최초로 검출

2011년 도호쿠 대지진 발생 후 동아시아 지역의 지각 변위
자연재해감시 기술 개발
태풍, 집중호우와 같은 자연 재해를 상시 감시하고, 현업에 활용할 수 있는 GNSS 가강수량 정보를 준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개발
2015년 7월 태풍 찬홈 상륙 전 GNSS 가강수량 분포(왼쪽)과 천리안 위성에서 촬영한 영상 (오른쪽)
역서 편찬
대한민국 공식 역서를 매년 발행하고 있으며, 일 · 월 출몰 시각과 같은 일상 생활에 필요한 생활 천문 정보를 국민들에게 제공

역서 표지와 내용
연구시설 및 장비 관련 활용 기술
- 국내외 GNSS 상시관측망 및 IGS 글로벌 데이터 센터
- IVS 통합분석센터
- 아리랑5호 AOPOD 시스템 데이터센터
(왼쪽) 천문연구원에서 운영하는 국내 · 외 GNSS 상시 관측망 (오른쪽) IGS 글로벌 데이터 센터 홈페이지
약어해설
- GNSS (Global Satellite Navigation System) : 전지구 위성항법시스템
- VLBI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 초장기선 전파간섭계 관측
- SLR (Satellite Laser Ranging) : 인공위성레이저추적 시스템
- IGS (International GNSS Service) : GNSS 국제 기구
- IVS (International VLBI Service) : VLBI 국제 기구
- AOPOD (Atmosphere Occultation Precision Orbit Determination) : 아리랑5호 부탑재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