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달 및 행성과학

주요 임무

남천황도대 집중탐사연구 (Deep Ecliptic Patrol of the Southern Sky, DEEP-South)

외계행성탐색시스템(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KMTNet)의 남반구 3개 관측소를 이용해 근지구천체(Near Earth Objects, NEOs)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는 연구 프로젝트입니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연간 약 135일의 관측시간을 배정받았으며, 근지구천체의 자전 특성과 표면 광물의 특성을 조사하는 동시에, 지구 안쪽 궤도를 공전하는 천체들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근지구천체의 종족 모델을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북천 소행성궤도진화 연구 (Kirkwood Excitation and Exile Patrol of the Northern Sky, KEEP-North)

소행성 대부분은 태양계 형성초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태양계 형성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 특히 소행성 종족은 생성 시점이 동일하다는 사실과, 하나의 모체로부터 분리됐다는 사실 때문에 태양계 궤도진화 연구는 물론, 소행성의 물리적 특성을 밝히는데 핵심이 됩니다. 우리는 소행성 종족에 대한 측광을 통해 소행성대 소행성(Main Belt asteroids)이 근지구공간으로 유입되는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달 탐사선 중적외선 분광기 (Lunar Infrared Spectrometer)

달에서 물의 존재는 과학적인 측면과 우주탐사를 위한 자원활용 측면에서 모두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형 달 탐사선에 싣기 위해 현재 개발 중인 중적외선 분광기는 달에서 온도가 낮은 지역, 특히 고위도 지역에 존재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물에 대한 탐사와 물 분포 지도 작성을 목표로 합니다. 우리는 달과 같은 환경에서 온도에 따라 물이 어떻게 순환하고 이에 따라 표면 물질들이 어떻게 진화하는지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달 편광관측 연구 (Study on the polarimetry of the Moon)

우리는 편광관측 자료를 이용해 달, 소행성 같은 대기가 없는 소천체의 표면 성분과 반사율, 입자 크기, 표면 거칠기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천체 표면의 성숙도와 우주 환경이 어떤지에 대해서도 알아낼 수 있습니다. 한국형 달 탐사선 임무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지상 망원경을 위한 사전 검증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표 성과
소행성 종족 측광연구: Rotational Properties of the Maria Asteroid Family (AJ)
나이가 많은 소행성 종족인 마리아 소행성 종족의 자전특성은 태양빛 재방출의 비등방성에 기인하는 비중력적인 힘에 의해 상당히 변화된다는 사실을 소행성 각각에 대한 시계열 측광관측으로 밝혀냈습니다. 특히, Yarkovsky효과에 의한 이 소행성들의 궤도장반경 변화에 의하여, 1억년마다 크기 1 km이상의 마리아 종족의 소행성 37~75개 정도가 근지구 공간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Maria 소행성 종족 전체 멤버들의 고유 궤도 장반경과 절대 등급 평면에서의 위치 분포. 자전주기를 구한 총 92개의 소행성들은 녹색 박스로 표시하였고, prograde 자전을 하는 소행성은 파란색 원, retrograde 자전은 붉은색 원으로 표시하였다. 위쪽에 나타난 히스토그램은 Maria 소행성 종족의 개수 밀도 분포이고 붉은색 실선은 그 개수 밀도가 지역적으로 최소인 지점이다. (가로 : Absolute mag의 8~150 수치, 세로 : Proper semi marjor axis AU의 2.5 ~ 2.75 수치로 이루어짐)

Maria 소행성 종족 전체 멤버들의 고유 궤도 장반경과 절대 등급 평면에서의 위치 분포. 자전주기를 구한 총 92개의 소행성들은 녹색 박스로 표시하였고, prograde 자전을 하는 소행성은 파란색 원, retrograde 자전은 붉은색 원으로 표시하였다. 위쪽에 나타난 히스토그램은 Maria 소행성 종족의 개수 밀도 분포이고 붉은색 실선은 그 개수 밀도가 지역적으로 최소인 지점이다.

월면 다파장 편광연구 : Multi-Band Polarimetry of the Lunar Surface. I. Global Properties (ApJS)
이 논문은 최초로 월면 전체에 대해 U, B, V, R, I 영역에 대한 최대편광도 지도를 공간분해능 1.3km로 완성했으며, 이 지도를 바탕으로 월면 표면의 입자 크기가 달의 위도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이것은 달의 위도에 따라 우주환경이 다르다는 사실을 뜻하는 것으로 앞으로 달 탐사선이 경험하게 될 우주환경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V 파장에서의 최대편광도 지도 : 0.56,0.90,1.24 log(%)

V 파장에서의 최대편광도 지도

달 전면의 표토입자크기 분포도 : 1.80,1.93,2.06 log(um)

달 전면의 표토입자크기 분포도

달의 위도에 따른 바다(푸른색)와 고원(붉은색)의 입자크기 분포도. 위도가 커짐에 따라 바다와 고원 모두 입자크기가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달의 위도에 따른 바다(푸른색)와 고원(붉은색)의 입자크기 분포도. 위도가 커짐에 따라 바다와 고원 모두 입자크기가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시설 및 장비 관련 활용 기술
  • 달 궤도선 광시야 편광카메라
  • 달 편광 지상관측 전용망원경
  • 태양소천체 관측스케줄링 및 자료분석 시스템
  • 달 적외선분광기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