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1978년 개관한 소백산천문대는 우리나라 관측 천문학의 발원지로서 불모지인 우리나라 초기 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
- 우리나라 천문학의 발전에 따라 1995년 보현산천문대 1.8m망원경이 건설되고, 2010년대 들어 KMTNet과 GMT 시대를 맞이하여 그 역할에 큰 변화가 생김
- 전 세계적으로 6~10m 급 대형망원경이 활발하게 연구 활동을 하게 되어 2m 이하의 소형망원경의 역할은 점점 축소되었고 일부는 현재 작동을 중지했지만, 아직도 중장기 관측과제를 중심으로 장기 모니터링 관측이나 아주 밝은 천체의 관측 등에서 아직 연구 업적을 내고 있으며, 한편으로 학생들의 연구 교육 부문뿐만 아니라, 대국민 견학이나 홍보 분야에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주요 연구분야
- 식쌍성과 맥동변광성의 광도곡선 해석을 통한 온도, 질량 등 물리적인 인자도출
- 별표면 통과행성(Transit)의 정밀 후속관측에 의한 물리적 특성 연구
- 소행성 종족 및 근지구 천체에 대한 물리적 특성 연구
- 정지궤도위성 위치 관측
- 산개성단 및 구상성단 내의 변광성 연구
- 혜성, 초신성과 같은 신천체의 측광관측 및 영상 획득
장기관측과제
- 국제 공동 관측 캠페인을 통한 소행성 종족의 궤도진화 연구(2016B-2021A)
- Intensive Monitoring Survey of Nearby Galaxies(2016B-2021A)
연구장비
- Boller & Chivens 24인치(61cm) 반사망원경
- 광학계 : 유효초점 f/13.5, 리치-크레티안 형
- 주 경 : 61cm 유효직경, f/3.5
- 부 경 : 18cm 유효직경, 쌍곡면
- 관측시야 : 1도
- 보조망원경 : 지름 10cm, f/8.5, 관측시야 2도
- 마운트형식 : 적도의식
- 구동속도 : 1.5 도/초 Slew, 3 분/초 Set, 1 초/sec Guide)
- 구동방법 : 컴퓨터제어 및 핸드 패들
- CCD
- Filter
- AWS & 전천모니터링시스템
- 전산시스템
- 보조망원경(TOA-150, 40x150 ED-SX)
Boller & Chivens 24인치(61cm) 반사망원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