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개요 및 연혁
  •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다양한 외계행성 발견 방법 중에서도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지구와 비슷한 외계행성을 탐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칠레, 남아공, 호주에 설치한 외계행성 탐색시스템(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KMTNet)으로 24시간 연속관측을 수행함
  • 2015년 10월 외계행성 탐색시스템(KMTNet) 관측소 개소
  • 2018년 10월 국가 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KMTNet 시스템 구성
2x2도 광시야 광학망원경

주경 1.6m, 주초점 반사 망원경

적도의식 마운트, 촛점거리 5160mm

4장의 광시야 보정렌즈, I-band 최적화

310mm x 310mm 크기의 필터 4장 동시 장착(Johnson-Cousins BVRI, SDSS griz, Ha, Med-band filter)

2x2도 광시야 광학망원경
3.4억 화소 모자이크 CCD 카메라

4장의 e2v CCD chip 모자이크

화소당 0.40 arcsec. 2×2도 관측시야

양자효율: V-band 85%이상, I-band 80% 이상

순환식 저온 냉각(-100도 이하)

3.4억 화소 모자이크 CCD 카메라
관측자료처리

모든 관측자료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천문연구원 데이터센터에 전송

전송 후 1일 이내에 영상처리 및 연구자들에게 배포(crosstalk, overscan, trimming, bias, flat fielding, WCS)

우리은하 벌지 영역 관측 영상은 영상차감법(DIA)을 이용하여 측광

측광 데이터베이스(DB) 구축: 5억 개 별의 광도곡선 제공

24시간 별이 지지않는 천문대

직경 1.6m 크기의 거울과 3.4억 화소의 초대형 모자이크 CCD 카메라로 이루어진 동일한 광시야망원경을 경도를 따라 3등분 된 남반구 칠레(KMTNet-CTIO), 남아공(KMTNet-SAAO), 호주(KMTNet-SSO)에 설치하여 남쪽 하늘에서 일어나는 천문현상을 24시간 중단 없이 지상에서 연속 관측

구글어스로 촬영한 각 KMTNet 망원경의 위치)-SSO(Austrailia), CTIO(Chile), SAAO(South Africa)

출처: 구글어스

KMTNet-CTIO 에서 촬영한 천체 사진

KMTNet-CTIO

KMTNet-SAAO 에서 촬영한 천체 사진

KMTNet-SAAO

KMTNet-SSO 에서 촬영한 천체 사진

KMTNet-SSO

KMTNet의 특징

3개 관측소에 있는 동일한 성능의 망원경을 이용하므로, 마치 하나의 천체를 하나의 장비로 24시간 중단 없이 연속 관측한 것과 같은 효과를 냄

3.4억 화소의 세계 최대급 모자이크 CCD 카메라를 이용해 보름달 면적의 16배인 2x2도의 넓은 시야를 한 번에 관측하므로, 탐색 관측에 유리

일시적 천문현상의 발생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천문현상의 발견이 보고된 직후 바로 추적관측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KMTNet 망원경이 설치된 3곳 중 적어도 한 곳은 밤이기 때문에 언제든 즉각적인 관측이 가능

3개 관측소에서 연속 관측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으로, 3개 관측소 중 한 관측소는 한창 관측이 진행 중인 밤시간일 때,<br />
 다른 한 관측소는 관측이 끝나거나 시작 중이고, 나머지 관측소는 낮시간이다

3개 관측소에서 연속 관측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으로, 3개 관측소 중 한 관측소는 한창 관측이 진행 중인 밤시간일 때,
다른 한 관측소는 관측이 끝나거나 시작 중이고, 나머지 관측소는 낮시간이다.
왼쪽부터 칠레(KMTNet-CTIO), 호주(KMTNet-SSO), 남아공(KMTNet-SAAO) 관측소이며, 위쪽은 관측소 외부를 아래쪽은 관측소 내부를 보여준다.

주요연구분야

벌지 시즌: 우리은하 중심부의 5억 개 별을 24시간 연속 모니터링 관측하고, 각각의 광도곡선을 생성하여, 중력렌즈 행성사건 분석

비벌지 시즌: 우리은하 중심부 관측이 되지 않는 시기에는 초신성, 외부은하, 소행성 등을 관측하고 연구에 활용

대표성과

우리은하에서 지구 크기 만한 ‘나홀로 행성’ 발견  관련 정보 보기

‘인터스텔라 혜성’ 지구 접근 직전에 촬영하다 - KMTNet 망원경으로 외계에서 날아온 혜성 보리소프(2I/Borisov) 추적  관련 정보 보기

가장 먼 왜소신성 발견 -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통해 발견  관련 정보 보기

국내 최초로 지구위협소행성(2018 PP29) 발견  관련 정보 보기

중력파 GW170817 추적 관측: 천체에서 오는 중력파와 감마선, X-선, 가시광선 등 전자기파 신호의 동시 관측 최초 성공  관련 정보 보기

외계행성 탐색시스템(KMTNet),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 - NASA 스피처(Spitzer) 우주망원경과 공동 관측  관련 정보 보기

'제2의 지구' 찾는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외계행성 2개 연속 발견 - 탐색시스템 이용한 첫 번째 성과 획득 및 연구 본격 시동  관련 정보 보기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광학천문본부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