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Total 865 RSS
20 2024-02
천문연, 우주의 소리를 담은 음원 발매
No. 825
천문연, 우주의 소리를 담은 음원 발매 - 창립 50주년 기념 음원 및 뮤직비디오‘Shine Like a Star’ 공개 - KVN 평창 전파망원경에서 얻은 첫 신호 소리로 변환 ■ 한국천문연구원이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디지털 싱글 앨범 ‘Shine Like a Star’를 2월 20일 발매한다.  □ ‘Shine Like a Star’는 인생과 일상 속 별과 우주 이야기를 감성적인 멜로디와 가사로 풀어내 우주가 주는 희망과 신비로움을 표현한 곡이다.  □ 본 음원의 보컬로는 가수 예성주가 참여했으며 서지원 감독과 김지나 작가가 작사와 작곡을 맡았다. 그림 1. ‘Shine Like a Star’ 뮤직비디오 내 이미지 일부분 □ 본 음원은 원곡과 보컬을 제거한 버전(instrumental)으로 총 두 가지로 출시되며, 자유롭게 활용이 가능하다. 멜론, 벅스, 지니 뮤직, 플로, 유튜브 뮤직 등 각종 음원 사이트에 등록될 예정이며 뮤직비디오는 한국천문연구원 공식 유튜브(링크: https://youtu.be/tA6sPmpbx-w)에 공개된다.                    □ 음원의 전반부와 후반부에는 2023년 지어진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평창 전파망원경으로 검출한 첫 신호(First Light)를 소리로 변환해 삽입했다. □ 한편, 한국천문연구원은 1974년 9월 소백산천문대를 시작으로 올해 50주년을 맞이했다. (보도자료 끝. 참고사진 있음.) [참고 1] 앨범 이미지 그림 2. KVN 서울대 평창 전파망원경에서 촬영한 ‘Shine Like a Star’ 앨범 이미지 [참고 2] KVN 평창 전파망원경으로 검출한 첫 신호 이미지 그림 2. KVN 서울대 평창 전파망원경으로 검출한 오리온성운(Orion IRc2)에서 나오는 230GHz 일산화탄소(CO) 분자선 이미지 참고 링크: https://www.kasi.re.kr/kor/publication/post/newsMaterial/29883 KVN 평창 드론 영상: http://210.110.233.66:8081/api.link/3d_baLoJGLDEWuYL-8E~.mp4 [참고 3] 천문연 기관 소개 1974년 9월 국립천문대로 출발한 한국천문연구원은 ‘우리는 우주에 대한 근원적 의문에 과학으로 답한다’라는 사명 아래 50년간 우리나라 천문우주과학 연구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왔다. 1978년 소백산천문대를 준공해 한국 현대 천문학의 시작을 이끌었으며, 1985년에는 한국 최초로 우주전파 관측소를 설치했다. 1996년에는 보현산천문대를 건립했으며 2024년 창립 50주년을 맞이했다. 천문연은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외계행성을 탐색하기 위해 2015년부터 칠레·남아공·호주에 외계행성탐색 시스템을 설치, 24시간 관측하고 있다. 또한 거대마젤란망원경(GMT) 건설 사업에 참여, 빅뱅 직후 초기 우주의 수수께끼를 탐구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천문연은 세계 최초로 우주 전파 4채널을 동시 수신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세계적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천문연은 현대 천체물리학의 가장 큰 난제인 블랙홀 연구에도 주력하고 있다. 지난 2019년에는 사건지평선망원경(EHT)를 통해 지구에서 55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M87의 '블랙홀 그림자' 관측에도 성공했다. 천문연은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수행하는 아르테미스의 하위 프로젝트인 민간 달 수송 서비스에 참여 중이다. 현재 달 표면 과학 탑재체 4종을 개발 중이며, NASA에서 개발 중인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의 성능 시험 장비인 극저온 진공 챔버를 제작했다. 또한 국가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 선정돼 인공위성의 추락 궤도를 계산·감시하고 있으며, 조선시대 천문 관측자료인 '성변측후단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도 앞장서고 있다.
07 2024-02
천문우주과학 분야 인공지능 컨퍼런스 SpaceAI 2024 개최
No. 824
인공지능, 우주를 만나다! - 천문우주과학 분야 인공지능 컨퍼런스 SpaceAI 2024 개최 ■ 천문우주과학 분야 인공지능 연구자 100여 명이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 본원에 모였다. 천문연은 2월 7일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프로그램을 천문우주과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SpaceAI 2024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 SpaceAI는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해 다양한 우주 분야 연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연구 주제 발굴, AI 전문가 양성, 다양한 빅데이터 및 AI 플랫폼 지원을 목적으로 2023년 천문연에서 기획한 프로그램이다. □ 이번 컨퍼런스에는 2023년에 수행한 인공지능 연구 활동 사례를 소개하고 최신 인공지능 모델 활용법과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 SpaceAI 프로그램은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들을 위한 과학자(Scientist) 트랙과 일반 시민들도 참여할 수 있는 시민 과학자(Citizen Scientist) 트랙으로 구분되어 진행된다. Scientist 트랙의 경우 2023년 상반기에 연구제안서 모집과 심사를 진행했으며, 최종 10건의 연구과제를 선정해 공동연구개발을 집중적으로 수행했다. □ 현재 경희대학교, KAIST, AI 팩토리 등 산학연이 협력해 빅데이터 및 컴퓨팅 자원 등을 지원하고 AI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 현재 SpaceAI 프로그램은 우주환경감시와 천문우주기술 분야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우주 탐사, 우주 바이오 분야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 SpaceAI 프로그램 위원회 위원장인 한국천문연구원 최성환 책임연구원은 “인공지능 기술 활용의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취지로 시작된 SpaceAI 프로그램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플랫폼을 제공해 혁신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고, NASA와 데이터세트, 모델, 카탈로그, API 등 연구 성과를 연동해 국제 커뮤니티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고 밝혔다. (보도자료 끝. 참고사진 있음.) [참고 사진] SpaceAI 2024 컨퍼런스 현장 이미지 [참고 사진] SpaceAI 2024 컨퍼런스 포스터 SpaceAI 2024 컨퍼런스 SpaceAI는 우주과학기술 분야에 인공지능(AI) 적용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관련 전문가들이 협업할 수 있는 양질의 환경을 제공하여 연구 성공률을 높이고, 학생과 시민들에게 AI교육을 통해 대한민국 우주시대를 열어갈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합니다. 2024.2.7.(수) 오전 10:30한국천문연구원 장영실홀 331-1, 2호 참가신청 spaceai.kasi.re.kr1월 31일 신청 마감 문의 spaceai_soc@kasi.re.kr program SpaceAI 2024 컨퍼런스 일정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10:30~10:35 환영사 박영득 원장 (한국천문연구원) 10:35~11:00 SpaceAI 프로그램 소개 최성환 박사 (한국천문연구원) 11:00~11:20 23년도 Scientist 트랙 활동내역 소개 박성홍 박사 (한국천문연구원) 11:20~11:40 23년도 Citizen Scientist 트랙 활동내역 소개 백지혜 박사 (한국천문연구원) 11:40~12:00 우주과학분야 인공지능 활용방법 및 비전 제시 문용재 교수 (경희대학교) 12:00~12:20 최신 인공지능 모델 소개 및 활용사례 류강현 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3:30~15:00 23년도 SpaceAI 팀과제 연구활동 발표 총 6개 연구과제 15:30~16:15 23년도 SpaceAI 개인과제 연구활동 발표 총 3개 연구과제 16:15~17:00 향후 계획 논의 논문, 특허, API 개발 등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우주기술센터 / KDCforSDO / KSWRC / 경희대학교 / KAIST SW교육센터 / AIFactory
06 2024-02
우주의 빛, 카메라로 담아봐요!
No. 823
“우주의 빛, 카메라로 담아봐요!” - 제32회 천체사진공모전 안내 시작…접수는 2월 13일부터 29일까지 ■ 한국천문연구원이 제32회 천체사진공모전을 개최한다. 천체사진 및 콘텐츠 접수는 2월 13일부터 29일까지 가능하다.  □ 천체사진공모전은 아름답고 신비한 천체사진 및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통해 인류의 유산이라 할 수 있는 천문학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키고자 매년 실시하고 있다. □ 이번 공모전은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공모 분야는 심우주(Deep sky)·태양계·지구와 우주 분야·한국천문연구원 50주년 특별 부문으로 나뉜다. 특별히 올해는 한국천문연구원 50주년을 맞아 이를 기념할 만한 창의적인 콘텐츠도 함께 공모한다.  □ 수상자들에게는 상패와 총 1천여 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올해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은 다양한 홍보물과 2025년 천문력 등에 활용된다. □ 접수 요령은 2월 29일까지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하면 된다. 심사 후 4월 초 당선작을 발표할 예정이다. □ 해당 공모전은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으로 주최하며, 공모전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과학문화-천체사진공모전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끝. 사진 있음.) [참고] 제31회(지난해) 천체사진공모전 대상 수상작 대상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 대상작. 이시우의 ‘해파리 성운’ ※ 역대 수상작 바로 보기 : https://www.kasi.re.kr/kor/education/pageView/353 ※ 공모전 상세 안내 : https://www.kasi.re.kr/kor/education/post/astronomy-contest/29927
18 2024-01
M87 블랙홀의 1년 뒤 모습은?
No. 822
M87 블랙홀의 1년 뒤 모습은? - 그린란드 망원경 추가해 개선된 영상 포착…고리 구조의 밝기 변화 관측 - 올해부터 한국 전파망원경(KVN)도 블랙홀 관측 수행 그림 1. M87 블랙홀 이미지를 2017년 4월 관측(왼쪽)과 2018년 4월 관측(오른쪽)으로부터 얻은 결과. 블랙홀 그림자로 불리는 중심 검은 부분과 블랙홀의 중력에 의해 휘어진 빛이 고리 모양으로 관측됐다. 블랙홀의 그림자 부분과 고리 크기는 거의 일치하지만 고리에서 가장 밝은 부분의 위치가 다르다. 변화하는 고리의 모습을 포착했다는 의미가 있다. 하단의 하얀 선은 빛이 나흘 동안 갈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하는데 블랙홀의 크기를 가늠하기 위해 표기한 선이다. (출처: ©EHT Collaboration)  □ 한국의 연구진 및 연구기관들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이 사건지평선 망원경(EHT, Event Horizon Telescope)으로 M87 은하 중심에 위치한 초대질량 블랙홀의 그림자와 빛의 고리 구조를 또다시 포착했다. 이번 영상은 2018년 관측 데이터로부터 얻었으며 이는 2017년 인류 역사상 최초로 포착해 2019년에 발표한 M87 블랙홀의 1년 뒤 모습이다. (그림 1 참고). □ 2018년 포착한 블랙홀 그림자와 빛의 고리 구조 크기는 2017년과 일치했지만, 고리 구조의 가장 밝은 부분의 위치에 차이가 있었다. 아인슈타인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하면 블랙홀 고리 구조의 크기*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일정하게 관측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고리 구조의 밝기 분포는 블랙홀 주변 플라즈마에 존재하는 난류 등의 효과로 인해 변할 수 있다.     ※ 블랙홀 그림자와 빛의 고리 구조 크기는 블랙홀의 질량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87 블랙홀의 질량은 매우 천천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인류의 역사보다 긴 시간이 지나더라도 질량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 만약 2017년에 관측한 블랙홀 그림자와 빛의 고리 구조 크기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예측된 구조라면 다시 관측을 했을 때 해당 구조의 크기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 □ 연구진은 2017년과 2018년 관측 영상을 비교·분석해 일반 상대성 이론 및 M87 블랙홀의 존재를 다시 한번 검증했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후속 연구를 통해 고리 구조의 밝기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블랙홀 주변 물질 유입 및 방출 과정에 대한 더 큰 실마리를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관측에는 2018년 새로 참여한 그린란드 망원경(Greenland Telescope)의 역할이 컸다. 기존 8대의 EHT에 신규 망원경*이 추가되고 자체 망원경 성능도 향상돼 블랙홀 영상의 정확도가 크게 개선됐다. ※ 본 연구에 참여한 9개 망원경 : 아타카마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전파간섭계(ALMA), 아타카마 패스파인더(APEX), 유럽 국제전파천문학연구소(IRAM) 30미터 망원경,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망원경(JCMT), 대형 밀리미터 망원경(LMT), 서브밀리미터 망원경 집합체(SMA), 서브밀리미터 망원경(SMT), 남극 망원경(SPT), 그린란드 망원경(GLT)  □ EHT는 2017년을 시작으로 2018, 2021, 2022년에 M87을 관측했으며 2024년에도 관측을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한국천문연구원이 운영하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Korean VLBI Network)이 관측에 직접 참여한다. 연구진은 KVN의 참여로 더 정확한 블랙홀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블랙홀 영상화팀의 공동 리더인 한국천문연구원/연세대학교 박사후연구원 조일제 박사는 "블랙홀 영상화는 페타바이트에 달하는 방대한 관측 자료를 과학연구에 필요한 영상으로 변환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며 “이번 영상화 과정에서 한국 연구자들이 영상화팀의 공동 리더를 맡음으로써 거대 국제 협력 프로젝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고 강조했다. □  블랙홀 영상화팀의 공동 리더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박종호 교수는 “이번 결과는 2017년에 발표된 최초의 M87 블랙홀 이미지를 다시 한번 검증했을 뿐만 아니라, 1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변하는 고리의 모습을 포착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해당 결과는 지속적인 블랙홀 관측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  해당 연구에 참여한 경북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부 천문대기전공 김재영 교수는“그린란드 망원경의 참여를 시작으로 후속 관측에서는 KVN을 포함한 더 많은 망원경들의 참여가 예상되고, 그동안 보지 못했던 블랙홀의 모습을 포착할 가능성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 이번 국제 공동 연구의 총괄 책임자인 대만중앙연구원 천문천체물리연구소 소속 케이치 아사다(Keiichi Asada) 박사는 “과학 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가치 중 하나가 관측 결과의 재현성이다”며, “블랙홀 그림자의 존재를 새로운 관측을 통해 확인했다는 것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확실하게 입증하는 중요한 결과다”고 언급했다. □ 한편, 본 연구는 Astronomy & Astrophysics 2024년 1월호에 게재된다.(보도자료 끝. 붙임자료 및 이미지 있음.) [참고 1] 그림 및 참고 영상 - 그린란드 망원경(GLT, Greenland Telescope) 그림 2. 그린란드 망원경(GLT) 2018년부터 EHT 관측에 참여하여 영상 성능 향상에 큰 역할을 했다. 현재 그린란드 피투피크(Pituffik) 지역에 있으며 곧 그린란드의 정상으로 옮겨 더 높은 주파수에서의 블랙홀 영상을 얻을 계획이다. (출처: Matsusita/ASIAA)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Korean VLBI Network) 그림 3. KVN 평창 전파망원경 한국천문연구원이 운영하는 KVN은 서울 연세대, 울산 울산대, 제주 서귀포(구 탐라대 부지), 평창에 설치된 21m 전파망원경 4기로 구성된 초장기선 간섭계(VLBI: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관측망이다. KVN은 우리나라 크기 만한 가상의 큰 망원경을 구현하여 높은 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랙홀이나 활동성 은하핵, 별의 탄생과 사멸 지역과 같은 우주의 초미세 구조를 세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 최근 서울대 평창 캠퍼스에 KVN 4호기 건설이 완공되었으며,  KVN 평창 전파망원경은 기존 KVN 망원경의 관측 주파수 대역을 포함해 최고 270GHz에 이르는 고주파수 우주전파신호를 관측할 수 있는 세계 최초 5채널(22/43/86/150/230GHz) 수신시스템을 갖췄다. [천문연 보도자료 2023년 12월 20일자 참고: https://www.kasi.re.kr/kor/publication/post/newsMaterial/29883] - 2018년 M87 관측에 참여한 EHT 망원경 Event Horizon Telescope(EHT) Aglobal Network of Radio TelescopesJCMT SMASMTLMT30-MALMA APEXSPT 2017 OBSERVATIONS ALMA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CHAJANANTOR PLATEAU, CHILE APEX Atacama Pathfinder EXperiment CHAJNANTOR PLATEAU, CHILE 30-M IPAM 30-M Telescope PICO VELETGA, SPAIN JCMT James Clerk Maxwell Telescope MAUNAKEA, HAWAII LMT Large Millimeter Telescope SIERRA NEGRA MEXICO SMA Submillimeter Array MAUNAKEA, HAWAII SMT Submillmeter Telescope MOUNT GRAHAM, ARIZONA SPT South Pole Telescope SOUTH POLE STATION Event Horizon Telescope(EHT) Aglobal Network of Radio TelescopesGLTJCMT SMASMTLMTPVAPEX ALMASPT Obserbatiories 2018 2017 ALMA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CHAJANANTOR PLATEAU, CHILE APEX Atacama Pathfinder EXperiment CHAJNANTOR PLATEAU, CHILE PV IRAM 30-meter Telescope PICO VELETA, SPAIN JCMT James Clerk Maxwell Telescope MAUNAKEA, HAWAII LMT Large Millimeter Telescope SIERRA NEGRA MEXICO SMA Submillimeter Array MAUNAKEA, HAWAII SMT Submillmeter Telescope MOUNT GRAHAM, ARIZONA SPT South Pole Telescope SOUTH POLE STATION GLT Greenland Telescope Project THULE AIR FORCE BASE (상단) 2017년 관측에 참여한 망원경과 달리 (하단) 2018년 관측에는 그린란드 망원경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미국 국립전파천문대] [참고 2] M87 블랙홀 연구 관련 주요 내용 1 사상 최초 M87 블랙홀 관측 M87 블랙홀 편광 영상 획득 2019년 4월 공개 2021년 3월 공개 보도자료 링크 보도자료 링크 M87 다파장 동시 관측 M87 그림자와 제트 동시 포착 2021년 4월 공개 2023년 4월 공개 보도자료 링크 보도자료 링크 M87 블랙홀 제트의 자기장 강도 추정 M87 블랙홀의 세차운동 발견 2023년 8월 공개 2023년 9월 공개 보도자료 링크 보도자료 링크 [참고 3] 참고 설명 그림 5. 광자고리 형성 원리를 설명하는 이미지 (a) 블랙홀 주변을 지나가는 광자들의 궤적을 나타낸 그림. 블랙홀의 가장 흥미로운 특징 중 하나는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이다. 블랙홀 주변에는 중력이 너무 강해서 빛조차도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는 사건의 지평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건의 지평선의 존재 및 블랙홀 근처의 강한 시공간의 휘어짐으로 인해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관측자가 블랙홀 그림자를 둘러싼 고리 구조를 보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가면 블랙홀의 강한 중력으로 인해 빛조차도 빠져나올 수 없다.  -이미지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zUyH3XhpLTo&ab_channel=Veritasium. (b)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만든 블랙홀 이미지 예상도. 왼쪽 그림과 같이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의 존재로 인해 관측자는 약 5.2 슈바르츠실츠 반지름*의 직경의 고리 구조와 중심의 블랙홀 그림자를 관측하게 된다. 블랙홀 그림자의 크기는 블랙홀의 질량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87 블랙홀의 질량은 매우 천천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인류의 역사보다 긴 시간이 지나더라도 질량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  * 슈바르트실츠 반지름은 어떤 질량을 가진 천체가 블랙홀이 됐을 때의 반지름이다. 그림 출처: Center for Astrophysics | Harvard & Smithsonian [참고 4] 이번 연구에 참여한 국내연구진 명단 - 국내 참여자 총 9명: 성함, 직급 (소속)  • 조일제 박사후연구원 (천문연, 연세대)  • Xiaopeng Cheng 박사후연구원 (천문연)  • 정태현 책임연구원 (천문연, UST)  • 김재영 조교수 (경북대)  • 김종수 책임연구원 (천문연)  • 김준한 조교수 (KAIST)  • 이상성 책임연구원 (천문연)  • 박종호 조교수 (경희대)  • 손봉원 책임연구원 (천문연, 연세대, UST) [참고 5]  논문 ○ 논문 - 제목 : The persistent shadow of the supermassive black hole of M 87: I. Observations, calibration, imaging, and analysis - 게재지 : Astronomy & Astrophysics 2024년 1월호 - 논문 링크: https://doi.org/10.1051/0004-6361/202347932 - EHT 연구단 영문 보도자료 원문 링크: https://eventhorizontelescope.org/M87-one-year-later-proof-of-a-persistent-black-hole-shadow
08 2024-01
천문연, 대전시와 함께 하는  우주탐사 강연 프로그램 ‘Moon to Mars’ 개최
No. 821
천문연, 대전시와 함께 하는 우주탐사 강연 프로그램 ‘Moon to Mars’ 개최 - 최신 우주탐사 주제로 강연 및 견학 진행…선착순 120명 모집  - 강연자에 나사 앰버서더 폴윤, 우주인 이소연 ■ 한국천문연구원은 오는 1월 13일 우주탐사를 주제로 한 대중강연 프로그램 ‘Moon to Mars*, 과학도시 대전과 함께하는 KASI 스페이스 아카데미’를 진행한다.     * Moon to Mars(M2M) : ‘달에서 화성까지’ 간다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프로그램으로, 달에 인류를 보낸 후 이를 거점으로 삼아 화성 유인탐사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NASA 앰배서더 폴 윤 교수와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박사가 강연을 펼친다. 각각 NASA의 달과 화성 탐사 그리고 한국인 최초 우주인이 되기까지의 과정과 국제우주정거장의 생활을 다룬다.  □ 강연과 질의응답 시간 이후에는 한국천문연구원 본원의 우주탐사 주제 대표 연구실인 탐사과학운영실과 우주환경감시실을 방문한다.  이재진 우주과학본부장, 황정아 책임연구원, 문홍규 우주탐사그룹장 등 연구자들이 직접 최신 연구실을 소개한다. 탐사과학운영실은 현재 달 탐사 관련 운영실로 다누리에 탑재된 편광카메라가 촬영한 달 그리고 현재 개발 중인 달 착륙선의 탑재체 모형들을 확인할 수 있다. 우주환경감시실에서는 나사의 태양활동관측위성이 관측한 태양의 준실시간 모습과 천문연이 개발한 나노위성 도요샛 모형을 확인할 수 있다.  □ ‘Moon to Mars, 과학도시 대전과 함께하는 KASI 스페이스 아카데미’는 1월 11일(목)까지 선착순으로 접수 가능하며 신청은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 내 링크(https://forms.gle/Q6Dg9139omwCThED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장소는 한국천문연구원 대전 본원으로 현장 참석만 가능하다.  □ 한편 본 행사는 우주탐사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전문 프로그램의 필요에 따라 마련됐으며, 국가 천문우주 연구기관인 천문연과 대전시가 우주산업 삼각 클러스터 지정을 기념으로 공동 주최한다. (보도자료 끝. 참고 사진 및 자료 있음.) [참고 1] 참고자료 프로그램 일정 천문연, 대전시와 함께 하는 우주탐사 강연 프로그램 일정을 설명하는 표 입니다. 구분 시간 세부내용 장소 강연 10:00~10:30 - 입장('25) - 오프닝(5')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 소극장 10:30~11:30 - 강연1: 폴윤('30) [우주경제와 우리의 미래] - 강연2: 이소연('30) [슬기로운 우주생활] 11:30~12:00 - 토크콘서트 및 Q&A('25) - 기념품 추첨&클로징('5) 견학 12:00~13:00 - 홍보 동영상 시청('10) - 탐사과학운영실('20) - 우주환경감시실('20)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 세부 프로그램은 기관 사정으로 변동 가능 강연자 천문연, 대전시와 함께 하는 우주탐사 강연 프로그램 강연자를 설명하는 표입니다. 사진 약력 폴윤 사진 폴윤(Paul Yun) - 現 NASA 태양계 앰배서더 - 現 엘카미노 칼리지 수학과 교수 - 現 하버드대 입학사정관 - UC버클리 수학과 졸업 - 하버드대 교육학과 대학원 졸업 이소연 사진 이소연 - 한국 최초 우주인 - 카이스트(KAIST) 기계공학과 졸업 - 카이스트(KAIST) 바이오시스템학 대학원 졸업 - 前 카이스트 겸임교수 - 前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 [참고 2] Moon to Mars 포스터 과학도시 대전과 함께하는 MOON TO MARS KASI 스페이스 아카데미 모집 일시 : 2024년 1월 13일(토) 10:00~13:00 장소 :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수홀 소극장 대상 : 누구나 접수 : 선착순 접수 2024년 1월 11일(목) 까지 프로그램 강연 : 폴윤(PALUL YUN), 이소연 견학 : 한국천문연구원 - 탐사과학운영실 - 우주환경감시실 강연자 폴윤 NASA 앰배서더 하버드 대학교 입학사정관 엘카미노 대학교 수학과 교수 이소연 한국 최초 우주인 전) 카이스트 겸임교수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졸업 사회자 : 과학커뮤니케이터 지구 한국천문연구원 / 대전광역시 / 대전테크노파크
28 2023-12
[참고자료] KASI 올해의 10대 뉴스 선정 결과 발표
No. 820
KASI 올해의 10대 뉴스 선정 결과 발표 □ 개요  ㅇ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2023년 천문연의 성과와 이슈를 결산하고 최신 연구동향과 천문우주과학 이슈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저변을 확대하고자 KASI 올해의 10대 뉴스를 선정했다. □ 올해의 10대 뉴스   ㅇ 1위: 다누리 달 궤도선 탑재 광시야 편광카메라(PolCam), 세계 최초로 달 궤도선에서 월면 편광관측   - 다누리호에 실린 광시야 편광카메라(폴캠(PolCam), Wide-field Polarimetric Camera)를 이용해 2023년 초부터 월면 편광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이는 세계 최초로 달 궤도에서 이뤄지는 연구다.   - 폴캠은 다누리호 과학탑재체 공모에 선정돼 한국천문연구원과 경희대,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 등과 공동으로 국내 산·학·연의 균형 협력을 통해 개발됐다.    - 폴캠 운영을 위한 탐사과학운영실을 원내에 설치했으며, 폴캠 운영 이후 2024년 NASA 민간달착륙선에 탑재되는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 등 연구원의 행성탐사 임무의 산실로 지속 활용할 계획이다.  ㅇ 2위: 누리호 3차 발사로 우주로 날아간 도요샛 위성   - 우주 날씨를 직접 관측하고자 5년간 개발하였던 큐브위성 도요샛(SNIPE, Small scale magNetospheric and Ionospheric Plasma) 4기가 2023년 5월 25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를 타고 우주로 발사됐다.   - 미국, 일본, 유렵 등에서도 도요샛과 비슷한 임무를 가진 근지구 우주환경 관측 위성들을 발사했으나 이들은 지구 규모의 거시적 관측만을 수행한 반면, 도요샛은 위성간 거리와 비행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편대비행 기능을 추가하여 저궤도에서의 우주환경을 보다 정밀하게 관측 가능하다.   - 도요샛 4기 중 하나인 3호기 ‘다솔’은 결국 사출하지 못하였으나 발사를 지켜본 국민들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도요샛 3기와 성공적인 교신을 통해 큐브위성 최초로 편대 비행을 하며 우주 환경 변화를 관측하고 있다.  ㅇ 3위: KVN서울대평창전파망원경 건설 완료 및 첫 전파 신호 (First-light) 획득 성공   - 2023년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Korea VLBI Network) 확장사업으로 서울, 울산, 제주에 이어 서울대평창캠퍼스에 4번째 전파망원경을 건설했다.   - 평창KVN은 세계 최초로 22·43·86·129기가헤르츠(㎓)에 230㎓를 더해 5개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 평창KVN의 설계, 제작 및 설치는 모두 국내기술로 완성했으며, 12 오리온성운 별 탄생 지역 (Orion KL)으로부터 230GHz 대역에서 첫 전파 신호 획득에 성공했다.  ㅇ 공동 4위: 제미니천문대 전용 분광기 개발 천문연이 주도   - 한국천문연구원 대형망원경사업단은 세계 정상급 대형망원경인 제미니천문대용 적외선 고분산 분광기 IGRINS-2(Immersion GRating INfrared Spectrograph, 아이그린스-투)를 개발해 첫 관측(First Light)에 성공했다.   - 제미니천문대는 미국과 칠레에 각 1기씩 세워진 지름 8.1m 대형망원경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 운영 천문대다.   - 관측기기 개발팀은 10월 해발 4,200미터 하와이 마우나케아에 소재한 천문대에 분광기를 설치해 행성상 성운 NGC 7027 관측에 성공했다.  ㅇ 공동 4위: SPHEREx 우주망원경의 시스템 레벨 성능 시험 완료   - 천문연이 유일한 국제협력기관으로 참여 중인 세계 최초 전천 적외선 영상분광 탐사 NASA 미션인 SPHEREx(Spectro-Photometer for the History of the Universe, Epoch of Reionization, and Ices Explorer)는 작년 SPHEREx 검교정 장비를 이송한데 이어, 올해는 SPHEREx 망원경에 대한 시스템 레벨의 성능 시험을 완료했다.   - 천문연이 제공한 검교정 장비인 극저온 챔버, 망원경 로딩 장비, 극저온 광학파트들을 활용해, 초점 조정과 파장 검교정을 수행해 극저온에서 광학 및 분광 성능이 망원경의 요구조건에 잘 부합됨을 확인했다.   - SPHEREx는 예정대로 2024년 위성체 조립 및 시험을 거쳐 2025년 상반기에 발사될 예정이다.  ㅇ 6위: EAVN과 GMVA로 관측한 M87 블랙홀과 제트의 새로운 물리현상   -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진은 동아시아우주전파관측망(EAVN)을 중심으로 지난 23년간 관측한 M87 관측 데이터 분석을 통해 M87 제트가 11년 주기의 세차운동을 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M87 초대질량 블랙홀이 실제로 회전하고 있음을 최초로 입증했다. 이번 연구에서 한국천문연구원의 KVN이 대부분의 관측에 참여했으며, 한일공동상관센터(KJCC, Korea-Japan Correlation Center)는 연구에 사용된 총 170회의 관측 데이터 중 123개의 데이터를 상관처리했다.   - 국제공동연구진이 M87 초대질량 블랙홀의 그림자와 강력한 제트를 최초로 동시에 포착했다. 더불어 사상 최초로 M87 블랙홀의 부착원반의 모습도 확인해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이번 관측으로 부착원반에서 나온 빛이 블랙홀 주변의 고리 구조를 만들어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블랙홀 주변의 물리적 기작들을 규명했다.  ㅇ 공동 7위: 미 ERBS 위성 추락 위험의 선제적이고 정확한 분석으로, 국가 우주위험대응에 기여   - 우주위험감시센터 우주위험연구실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인공위성 비행역학 통합 솔루션 카시오페이아(KASIOPEIA)를 이용하여 2.5톤의 미국 NASA 지구관측 위성(ERBS) 추락의 정확한 예측 분석으로 국가 우주위험 대응에 기여했다.   - ERBS 추락 예측 범위에 우리나라가 포함된 긴급한 상황에서 항공기 이륙 및 선박 운항 통제 등 우주위험대책본부의 상황 적시 판단 및 대응을 위한 분석 결과를 제공했다. 실제 관측 결과, 미국의 연합우주작전센터(CSpOC, Combined Space Operations Center) 보다 선제적이고 정확한 분석을 제공했다.  ㅇ 공동 7위: AI 기반 우주과학기술 활성화 프로그램 SpaceAI   - 천문우주기술센터와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은 우주 분야에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SpaceAI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 SpaceAI는 경희대학교, KAIST Academy, 한국 IBM 등 산학연이 협업해 인공지능 기술, 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과 다양한 빅데이터 및 AI플랫폼을 제공했다.   - SpaceAI 프로그램은 향후 우주 탐사, 우주 바이오 분야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ㅇ 9위: 성변측후단자 UNESCO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비전선포식 및 학술대회 개최   - 고천문연구센터는 조선 관상감의 혜성 관측 현장 기록물인 “성변측후단자”의 UNESCO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 비전 선포식 및 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을 비롯해 한국천문학회, 한국우주과학회, 연세대학교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성변측후단자의 역사적 가치와 과학적 의미가 소개됐으며 영문과 국문 소개 영상을 제작해 유튜브를 통해 배포했다.  ※ 국문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cCYzmem5TXY&t=86s , 영문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YC1pPxFCxDE  ㅇ 10위: 원시행성 탄생의 수수께끼 풀어   -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는 행성 생성 기원의 비밀을 풀기 위한 국제공동연구 탐사프로젝트 eDisk (Early Planet Formation in Embedded Disk: P.I.  Dr. N. Ohashi)에 참여해 원시행성의 생성은 원시별이 만들어진 후 약 10만년 이내에 원시원반에서 시작됨을 밝혔다.   - 본 연구는 칠레 아타카마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전파간섭계(ALMA,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로 관측했으며, 천문연의 다수의 연구진이 공동연구자로서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 관련 영상 자료 동영상: KASI 올해의 10대 뉴스  - 유튜브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qCLu1uVAp0s&t=131s - 다운로드 링크: http://210.110.233.66:8081/api.link/3d_baLoJH7jJWuYJ-8Y~.mp4 (다운로드가 진행되지 않을 경우, 링크를 복사하여 주소창에 붙여넣으시기 바랍니다.)
20 2023-12
새로 지어진 KVN 평창 전파망원경, 고주파 첫 신호 검출에 성공하다
No. 819
새로 지어진 KVN 평창 전파망원경, 고주파 첫 신호 검출에 성공하다 - 100GHz 및 230GHz 첫 신호(First Light) 검출  - 세계 최초 5채널 수신시스템 갖춘 국산 초정밀 전파망원경 그림 1.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 내에 위치한 신규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21m 전파망원경. 230GHz 대역을 관측할 수 있는 단일 전파망원경 중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망원경이다. 첫 번째는 멕시코의 LMT(Large Millimeter Telescope, 50m), 두 번째는 스페인의 피코벨레타(Pico Veleta, 30m) 전파망원경이다.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은 강원도 서울대 평창캠퍼스에 건설 중인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4호기 서울대 평창 전파망원경(이하 KVN 평창 전파망원경)의 첫 230GHz 신호를 성공적으로 검출했다. KVN 평창 전파망원경은 내년부터 기존 KVN 망원경 3기와 더불어 EHT* 프로젝트에 참가해 초대질량 블랙홀 관측에 직접 참여할 예정이다.    * EHT(사건지평선망원경, Event Horizon Telescope) : 전 세계에 산재한 전파망원경을 연결해 지구 크기의 가상 망원경을 만들어 블랙홀의 영상을 포착하려는 국제협력 프로젝트이자 이 가상 망원경의 이름. 사건지평선이란 블랙홀 안팎을 연결하는 지대를 뜻한다. □ KVN 평창 전파망원경은 기존 KVN 망원경의 관측 주파수 대역을 포함해 최고 270GHz에 이르는 고주파수 우주전파신호를 관측할 수 있는 세계 최초 5채널(22/43/86/150/230GHz) 수신시스템을 갖췄다. 지난 10월 100GHz 대역에서 오리온성운 일산화규소(SiO) 분자선을 성공적으로 검출한 데 이어(그림 3 참고),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인 230GHz 대역에서도 첫 신호(First Light)로 오리온성운 일산화탄소(CO) 분자선 검출에성공했다. (그림 2 참고) □ KVN은 2009년 완공된 이후 KVN 단독 관측을 비롯해 한일 VLBI 관측망(KaVA, KVN and VERA Array), 동아시아 VLBI 관측망(EAVN, East Asian VLBI Network), 유럽 VLBI 관측망(EVN, European VLBI Network), 국제 밀리미터 VLBI 관측망(GMVA, Global Millimeter VLBI Array) 등 전 세계 전파망원경들과 활발한 국제공동관측 및 국제협력 연구를 수행해왔다. 최근에는 사상 최초 M87 블랙홀 관측과 우리은하 중심 궁수자리 블랙홀 관측에 기여했다. □ 특히, 천문연이 독자 개발한 KVN 다주파수 동시관측 수신시스템은 현재 전 세계 여러 전파망원경에 도입돼 국제 표준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2022년에는 이탈리아 국립천체물리연구소에 3기를 수출했으며, EHT 전파망원경을 비롯해 차세대 블랙홀 관측을 위한 거대 국제공동연구 프로젝트인 차세대 EHT 프로젝트(ngEHT)*의 핵심 관측 시스템으로 채택됐다.   * ngEHT(차세대 사건지평선망원경: next generation Event Horizon Telescope) 프로젝트는 기존 EHT 전파망원경을 확장하고 성능을 향상시켜 초대질량 블랙홀의 동영상 촬영을 비롯하여 블랙홀과 그 주변 환경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목표로 한다. □ KVN 평창 전파망원경은 2024년 상반기 시범운영을 거쳐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관측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KVN 전파망원경이 3기에서 4기로 늘어나면 천체 관측의 영상 성능이 2배 이상 향상돼 우주 초미세구조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 한국천문연구원 김기태 전파천문본부장은 “평창 전파망원경 건설로 동아시아 및 국제 밀리미터 VLBI 관측망에서 KVN의 위상이 더 높아지고, EHT 관련 국제협력에서 한국 연구팀의 역할이 더 중요해질 것이다”고 말했다.  □ 전파망원경 건설을 담당한 위석오 박사는 “230GHz 관측을 위해서는 전파망원경 주경면을 설계된 곡면과 일치하도록 정밀하게 구현하는 것이 핵심 기술인데, 이에 필요한 주요 정밀 부품을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하고 설치했다. 이는 천문연과 관련 국내기업((주)하이게인안테나)의 창의적인 도전의 결과”라고 밝혔다.  □ 평창 전파망원경 건설 사업 책임자인 변도영 책임연구원은 “다주파수 동시관측 기술은 고주파수(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VLBI 관측 시스템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로, 평창 전파망원경에서 얻게 될 230GHz 다주파수 동시관측 위상 보정 결과는 전 세계 여러 천문대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을 것이다”고 언급했다. (보도자료 끝. 참고자료 및 이미지 있음.) (보도자료 끝. 붙임자료 및 이미지 있음.) [참고 1] 그림 및 참고 영상 그림 2. KVN 서울대 평창 전파망원경으로 활발한 별 탄생 지역인 오리온성운(Orion IRc2)에서 나오는 230GHz 일산화탄소(CO) 분자선을 성공적으로 검출했다(2023년 12월). 그림 3. KVN 서울대 평창 전파망원경으로 활발한 별 탄생 지역인 오리온성운(Orion IRc2)에서 나오는 100GHz 대역에서 일산화규소(SiO) 분자선을 성공적으로 검출하였다(2023년 10월). [참고 2] 참고 설명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Korean VLBI Network)  KVN은 서울, 울산, 제주, 평창에 있는 직경 21m 전파망원경 4기로 구성된 초장기선 전파간섭계(VLBI: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로 우리나라 크기 만한 가상의 큰 망원경을 구현하여 높은 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랙홀이나 활동성은하핵, 별의 탄생과 사멸 지역과 같은 우주의 초미세 구조를 세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 - 초장기선 전파간섭계(VLBI,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수백~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으로 동시에 같은 천체를 관측하여 전파망원경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구경을 가진 거대한 가상의 망원경을 구현하는 방법이다. - KVN 서울대 평창 전파망원경  KVN 평창 전파망원경은 국내 기술로 제작된 첫 230GHz 전파망원경으로 ㈜하이게인안테나가 제작을 맡았다. 최대 150GHz 대역까지만 관측할 수 있었던 기존의 KVN 전파망원경과 동일한 크기와 디자인을 도입했지만, 망원경 주경과 부경의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켜 230GHz 대역에서도 구경효율 30% 이상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측정된 천체 추적 정밀도는 ~2.2 각초*, 금성을 관측하여 측정한 구경효율**은 ~39%로 230GHz 대역에서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전파망원경 성능을 보인다. * 1 각초는 3600분의 1도이다. ** 구경효율(aperture efficiency)은 망원경이 수신하는 전파 신호의 양을 이론적인 최대 수신량과 비교한 비율이다.   - 드론 영상:  http://210.110.233.66:8081/api.link/3d_baLoJGLDEWuYL-8E~.mp4   - 소개: https://radio.kasi.re.kr/kvn_ko/kvnpc/about_kvnpc.php    - 건설 사진 자료: https://radio.kasi.re.kr/kvn_ko/kvnpc/construct_list.php   - 상량식 자료: https://radio.kasi.re.kr/kvn_ko/kvnpc/construct_list2.php    - 상량식 동영상: https://youtu.be/j9ai9sDdtL8?si=HoVgZF7bWmYscql6 
20 2023-12
No. 818
다누리의 광시야 편광카메라 관련 설명자료 - 달탐사 임무 차질 없이 수행 중 ○ 2023년 12월 20일 달 궤도선 다누리 기사 관련해 설명 드립니다.  ○ 카메라 두 대로 구성된 다누리 탑재체 광시야 편광 카메라는 현재 두 대 모두 작동 가능한 상태이며, 현재 성능이 더 좋은 1번 카메라 중심으로 관측 중입니다.    - 폴캠은 1, 2번 카메라를 번갈아 운영하며 둘 중 더 조건이 좋은 카메라를 활용하는 것이 당초 계획이었습니다.         ※ 1개의 카메라만 이용해도 임무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 나머지 1기의 카메라는 탐사선의 자세 등 상황에 따라 더 유리한 지역을 관측하기 위한 용도    - 따라서, 폴캠의 임무 목표인 100m 이상 해상도의 편광지도 작성, 티타늄 지도 작성을 달성하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 다만, 2번 카메라가 1번 카메라에 비해 관측 해상도가 낮은 것은 발사과정에서 생긴 진동 등의 원인으로 광학계의 광정렬 등이 틀어졌을 가능성을 높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 두 카메라 모두 데이터 처리에 문제가 없으며, 달 탐사 임무에 지장이 없는 상황으로, 이미 당초의 임무 목표를 상당 부분 완수한 상황입니다.     - 보도에 언급된 빛 번짐 현상은 카메라 특성으로 이미지 처리를 통해 개선할 수 있는 부분으로 판단되며, 폴캠의 임무 목표인 6개 채널의 월면 영상 획득(원시자료)는 이미       90% 이상 완료한 상황입니다.     - 자료처리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업은 별도의 후속사업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초기 버전이 완성됐으며, 이를 활용해 자료처리가 매일 정상 처리되고 있습니다.     - 다만, 편광영상의 특성상 위치정밀도를 높이고 광산란 모델을 적용해야 완성도 높은 편광지도를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자료처리 소프트웨어를 최적화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 더불어, 보도에 언급된 도요샛 2기는 현재 정상적으로 임무 수행, 편대 비행 중임을 알려드립니다.  [문의] ☎ 042-865-3266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 최영준 책임연구원 ☎ 042-865-2066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 정민섭 선임연구원
18 2023-12
2024년도 주목할 천문현상
No. 817
2024년도 주목할 천문현상 - 6월 28일 달과 토성의 근접, 8월엔 페르세우스 유성우 관측 가능 ■ 한국천문연구원은 2024년도 주요 천문현상을 발표했다. 6월 28일에는 달과 토성이 약 1.1도로 근접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8월에는 관측 조건이 좋은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볼 수 있다. □ 1월 28일 새벽 7시에는 수성과 화성이 0.3도*로 근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4월 11일 새벽 5시에는 화성과 토성이 0.4도 내로 근접한다. 8월 14일 23시에는 화성과 목성이 0.9도로 가까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행성 혹은 행성과 달의 각도란 관측 장소에서 두 점에 이르는 두 선 사이의 각의 크기를 의미한다. 각도가 작을수록 두 천체가 근접함을 의미한다. □ 일식은 태양-달-지구가 일직선으로 놓일 때 달에 의해 태양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가려져 보이지 않는 현상이다. 2024년에 일식 현상은 4월 9일 개기일식과 10월 3일 금환일식이 있다. 그러나 이 두 번의 일식 모두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다. 4월 9일 개기일식은 멕시코, 미국, 캐나다에서 관측 가능하며, 10월 2일 금환일식의 경우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 관측 가능하다. □ 3대 유성우라 불리는 1월 사분의자리 유성우, 8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12월 쌍둥이자리 유성우도 예년처럼 볼 수 있다. 새해 가장 먼저 찾아오는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1월 4일 밤과 자정을 넘어 5일 새벽에 많이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는 극대시각이 8월 12일 23시 30분으로 밤시간이며 달도 23시 6분에 지기 때문에 관측 조건이 매우 좋다. 쌍둥이자리 유성우 극대시각은 12월 14일 10시이다. 극대시간이 한낮이며 밤새도록 달이 떠 있기 때문에 관측에 좋지 않은 환경이다. □ 한편 2024년 가장 큰 보름달(망*)은 10월 17일 뜨는 달이며, 가장 작은 보름달(망)은 2월 24일 뜨는 달이다.  ※ 망: 태양, 지구, 달이 순서대로 한 직선 위에 놓이는 때. 또는 그때의 달. 달의 반구(半球) 전체가 햇빛을 받아 밝게 빛난다. (보도자료 끝. 붙임자료 및 이미지 있음.) [붙임] 2024년 세부 주요 천문현상 □ 1월 4~5일 사분의자리 유성우 극대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쌍둥이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 중 하나이다. 사분의자리라는 별자리는 사라졌지만, 예전부터 부르던 관습에 따라 사분의자리 유성우로 부른다. 올해 사분의자리 유성우 관측 최적기는 1월 4일 밤을 넘어 1월 5일 새벽일 것으로 예상한다. 올해 사분의자리 극대시간은 1월 4일 18시이고,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는 약 80개다. 극대시간이 초져녁이고 새벽 1시쯤 반달이 떠오르기 때문에 관측 조건이 좋은 편은 아니다. 그림1. 1월 4일 사분의자리 유성우(2017년 1월 4일 한국천문연구원 전영범 책임연구원 촬영) 그림2. 1월 4~5일 사분의자리 유성우 복사점 □ 1월 28일 수성과 화성의 근접 1월 28일 새벽 7시 남동쪽 하늘에서 수성과 화성이 약 0.3도 내로 근접한다. 이때 두 행성의 고도는 약 4도로 매우 낮기 때문에 남동쪽 지평선 근처 시야가 트여 있는 곳에서만 관측이 가능하다. 그림3. 1월 28일 수성과 화성의 근접 □ 4월 11일 화성과 토성의 근접 4월 11일 새벽 5시에는 화성과 토성이 0.4도로 근접해 거의 붙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두 행성의 고도는 약 6도로 동쪽 지평선 근처에서 볼 수 있다. 그림4. 4월 11일 화성과 토성의 근접   □ 5월 5일 물병자리 에타 유성우 극대 물병자리 에타 유성우는 올해 극대기가 6일 새벽 6시이고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는 약 50개다. 국내에서는 새벽시간이고, 그믐달이라 달빛 간섭도 거의 없어서 관측 조건이 좋은 편이다. 관측 최적기는 5일 새벽부터 6일 새벽이며, 물병자리 에타 유성우는 극대기 시간이 다른 유성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긴 편이다. 그림 5. 5월 5일 물병자리 에타 유성우 복사점 □ 6월 28일 달과 토성의 근접 6월 28일 새벽 0시 30분 기준 달과 토성이 1.1도로 근접한다. 두 행성의 고도는 약 8도로 동쪽 지평선 근처에서 볼 수 있으며, 밤새도록 근접한 상태로 두 천체를 관측할 수 있다. 그림 6. 6월 28일 달과 토성의 근접 □ 8월 12일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극대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는 ‘109P/스위프트-터틀(SwiftTuttle)’ 혜성에 의해 우주 공간에 흩뿌려진 먼지 부스러기들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일어난다. 올해 페르세우스 유성우 극대시간은 12일 23시 30분으로 국내에서는 밤 시간이고, 달도 23시 6분에 지기 때문에 관측 조건이 매우 좋다.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는 약 100개다. 12일 밤부터 13일 새벽까지 꽤 많은 유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림7. 페르세우스 유성우(2019년도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윤은준 촬영)    □ 9월 한가위 보름달 2024년 한가위인 9월 17일 보름달은 서울 기준 18시 17분에 뜬다. 달이 가장 높게 뜨는 시각은 다음날 0시 4분이며, 6시 2분에 진다. 각 지역에서 달이 뜨고 지는 시각은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6)에서 확인 가능하다.  그림8. 보름달(2022년 11월 8일 한국천문연구원 전영범 책임연구원 촬영) □ 10월 17일 올해 가장 큰 보름달(망*) 올해 가장 큰 보름달(망)은 10월 17일 뜨는 달로, 서울 기준 17일 38분에 떠서 다음 날 오전 7시 22분에 진다. 10월 17일 기준 지구와 달의 거리는 약 357,200km로 지구-달 평균 거리인 384,400km보다 약 27,200km 이상 가깝다. 가장 작은 보름달(망)은 2월 24일에 뜨는 달이다. 그림9. 달-지구 거리  □ 12월 8일 목성의 충 태양-지구-행성의 순서로 위치한 때를 행성이 충의 위치에 있다고 한다. 충일 때 그 행성이 지구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밝게 빛나는 관측의 최적기라 할 수 있다. 12월 8일은 목성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날로, -2.8등급의 밝은 목성을 관측할 수 있다. 그림10. 목성의 충  □ 12월 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소행성 3200페톤(3200 Phaethon)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부서지고 그 잔해가 남은 지역을 지구가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유성우이다. 올해 쌍둥이자리 유성우 극대시간은 12월 14일 10시이며,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는 약 150개이다. 쌍둥이자리 유성우의 극대기에 대한민국은 한낮 시간이고 밤새도록 밝은 달이 떠 있기 때문에 관측 조건은 매우 좋지 않다. 그림11. 쌍둥이자리 유성우(2021년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윤은준 촬영)
18 2023-12
No. 816
2023년 12월 31일 일몰 및 2024년 1월 1일 일출시각 발표 ■ 한국천문연구원은 주요 지역의 2023년 12월 31일 일몰시각 및 2024년 1월 1일 일출시각을 발표했다.  □ 2024년 떠오르는 새해 첫 해는 아침 7시 26분에 독도에서 가장 먼저 볼 수 있으며, 7시 31분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을 시작으로 내륙지방에서도 볼 수 있다. □ 한편 2023년 12월 31일 가장 늦게 해가 지는 곳은 신안 가거도로 17시 40분까지 지는 해를 볼 수 있고, 육지에서는 전남 진도의 세방낙조에서 17시 35분까지 볼 수 있다.  □ 발표한 일출시각은 해발고도 0 m를 기준으로 계산된 시각으로 고도가 높을수록 일출시각이 빨라져 해발고도 100 m에서의 실제 일출시각은 발표시각에 비해 2분가량 빨라진다.  (붙임의 표1 참고) □ 일출이란 해의 윗부분이 지평선(또는 수평선)에 나타나기 시작할 때를 의미하고, 일몰이란 해의 윗부분이 지평선(또는 수평선) 아래로 사라지는 순간을 의미한다. □ 기타 지역의 일출·몰 시각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의 생활천문관(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6)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보도자료 끝. 붙임자료 있음.) [참고 표] 각 지방의 연말 일몰 및 각 지방의 새해 일출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각 지방의 연말 일몰 (2023년 12월 31일) 각 지방의 새해 일출 (2024년 1월 1일)   지역 일몰     지역 일출       시 분       시 분     서울 17 23     서울 7 47     부산 17 21     부산 7 32     대구 17 21     대구 7 36     인천 17 24     인천 7 48     세종 17 25     세종 7 43     대전 17 25     대전 7 42     광주 17 30     광주 7 41     울산 17 19     울산 7 32     지역 일몰     지역 일출       시 분       시 분     감포수중릉 17 18     감포수중릉 7 32     강릉경포대 17 15     강릉경포대 7 40     강릉정동진 17 14     강릉정동진 7 39     강릉주문진 17 15     강릉주문진 7 40     강화도동막 17 25     강화도동막 7 49     거제학동몽돌 17 24     거제학동몽돌 7 33     고성백도 17 15     고성백도 7 43     고성송지호 17 15     고성송지호 7 43     고성화진포 17 15     고성화진포 7 43     고흥외나로도 17 29     고흥외나로도 7 36     당진난지도 17 27     당진난지도 7 48     당진왜목마을 17 26     당진왜목마을 7 47     대왕암공원 17 19     대왕암공원 7 31     독도 17 4     독도 7 26     동해망상 17 14     동해망상 7 38     동해추암 17 15     동해추암 7 38     무안도리포 17 32     무안도리포 7 43     무의도하나개 17 26     무의도하나개 7 49     보령대천 17 28     보령대천 7 45     보령무창포 17 28     보령무창포 7 45     부산다대포 17 22     부산다대포 7 32     부산태종대 17 21     부산태종대 7 32     부산해운대 17 21     부산해운대 7 32     부안격포 17 30     부안격포 7 44     부안곰소항 17 30     부안곰소항 7 43     삼척맹방 17 15     삼척맹방 7 37     서귀포강정 17 36     서귀포강정 7 37     서귀포마라도 17 38     서귀포마라도 7 38     서귀포이어도 17 38     서귀포이어도 7 38     서귀포표선 17 35     서귀포표선 7 36     서산간월암 17 28     서산간월암 7 46     서천춘장대 17 29     서천춘장대 7 45     석모도민머루 17 25     석모도민머루 7 50     성산일출봉 17 34     성산일출봉 7 36     속초항 17 15     속초항 7 42     신안가거도 17 40     신안가거도 7 45     신안홍도 17 38     신안홍도 7 46     신안흑산항 17 37     신안흑산항 7 45     안면도꽃지 17 29     안면도꽃지 7 46     양양낙산 17 15     양양낙산 7 42     양양하조대 17 15     양양하조대 7 41     영광가마미 17 31     영광가마미 7 43     영덕고래불 17 16     영덕고래불 7 34     영덕장사 17 17     영덕장사 7 34     영흥도장경리 17 26     영흥도장경리 7 48     완도보길도 17 34     완도보길도 7 40     울릉도 17 8     울릉도 7 31     울산간절곶 17 19     울산간절곶 7 31     울산방어진 17 19     울산방어진 7 31     울산주전몽돌 17 19     울산주전몽돌 7 31     울진망양정 17 15     울진망양정 7 35     울진죽변 17 15     울진죽변 7 36     인천대청도 17 32     인천대청도 7 57     인천백령도 17 31     인천백령도 7 57     인천소청도 17 31     인천소청도 7 56     인천연평도 17 28     인천연평도 7 52     인천월미도 17 25     인천월미도 7 48     인천을왕리 17 26     인천을왕리 7 49     제주차귀도 17 38     제주차귀도 7 39     제주협재 17 37     제주협재 7 39     진도세방낙조 17 35     진도세방낙조 7 42     태안만리포 17 29     태안만리포 7 48     포항구룡포 17 17     포항구룡포 7 32     포항칠포 17 17     포항칠포 7 33     포항호미곶 17 17     포항호미곶 7 32     포항화진 17 17     포항화진 7 34     해남땅끝마을 17 34     해남땅끝마을 7 40     화성궁평 17 25     화성궁평 7 47     화성전곡항 17 25     화성전곡항 7 47     화성제부도 17 26     화성제부도 7 47                 시 분   표1. 해발고도에 따른 일출시각과의 차이   가지산(울산) 7 33     해발고도 [m]  일출시각 차이 [min] 해발고도 [m]  일출시각 차이 [min]     내연산(포항) 7 34     두타산(동해) 7 38     보현산(영천) 7 35     설악산(인제) 7 42   0 0 600 -5   소백산(단양) 7 39   20-30 -1 900 -6   오대산(홍천) 7 41   100 -2 1200 -7   응봉산(서울) 7 37   200 -3 1550 -8   주왕산(청송) 7 35   400 -4 2000 -9   청량산(봉화) 7 37       토함산(경주) 7 32     팔공산(군위) 7 36     천성산(양산) 7 32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