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Total 886 RSS
19 1997-03
No. 6
일련번호:KAO-PR 9703-4 배포일자:1997년 3월 19일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홍보협력팀 천문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우주·정보소년단은 헤일-밥 혜성을 관측하는 내용을 주축으로 하는 혜성 축 제를 다음과 같이 전국 19곳에서 주최합니다. 이 행사들을 널리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각 지역 혜성 축제 주관 및 주최 일시 장소 연락처 서울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우주·정보소년단 서울지방본부 서울과학교육원 4. 11 18:00-22:00 서울과학교육원 02-311-1268 대전충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우주·정보소년단 대전충남지방본부 대전과학교육원 4. 9 18:00-22:00 대전과학교육원 042-862-2854 광주호남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우주·정보소년단 광주전남지방본부 성암청소년육성회 4. 11 16:00-22:00 성암천체관측소 0684-82-7456 부산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우주·정보소년단 부산지방본부 3. 29 17:00-22:00 을숙도 시민공원 051-757-3252 축제 참여 과학교육원 과학교육원 일시 장소 연락처 비고 서울과학교육원 위 표 참조 경기과학교육원 4.2-4.4 19:00-21:00 경기과학교육원 0331-45-4141 --- 강원과학교육원 4.25-4.26 19:00-22:00 강원과학교육원 0361-51-6426 일반 별의 축제 대전과학교육원 위 표 참조 전북과학교육원 4.10 19:00-22:00 전북과학교육원 0652-254-5002 --- 전남과학교육원 3.29-3.30 19:00-23:00 전남과학교육원 0613-31-2811 --- 광주교육과학연구원 4.11 19:00-22:00 광주교육과학교육원 062-227-1341 --- 경북과학교육원 3.5-4.30 19:00-21:00 경북과학교육원 0562-48-9986 매주 화, 수, 목 부산과학교육원 4.8-4.11 18:00-22:00 부산과학교육원 051-759-0904 --- 경남과학교육원 4.1 19:00-22:00 마산중학교 0551-46-0072 --- 4.14-4.15 19:00-22:00 경남과학교육원 0551-46-0072 일반 별의 축제 제주과학연구원 4.10 19:00-23:00 제주 종합운동장 064-58-9962 --- 업체 일시 장소 연락처 비고 서당골 수련원 3.29 19:00-22:00 구병산 천문대 0433-43-3521 무료, 유료, 숙박 등 조건 확인 요망 서울 랜드 3.29-4.6 17:00-21:00 서울 랜드 02-504-0011 선두 과학사 4.5 19:00-22:00 선두 천문대 0434-535-1014 신태양 3, 4월 주말 안성 천문대 0343-677-2245 천문우주기획 3.17-4.20 평일, 주말 코스모피아 02-587-3346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07 1997-03
No. 5
일련번호:KAO-PR9703-2 배포일자:1997년 3월 7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천문대에는 부분일식 촬영에 대한 문의전화가 연일 접수되고 있다. 그래서 촬영 방법에 대한 두 가지 예를 소개한다. 필요한 준비물은 50mm 표준렌즈가 부착된 수동식 카메라와 ND 필터, 케이블 릴리이즈(cable release), 삼각대, 필름이다. 자동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노출시간과 조리개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다. 케이블 릴리이즈는 셔터를 개방할 때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ND 필터는 태양 빛의 세기를 줄이는 역할을 하며, 사용 필터의 조합에 따라 2만분의 1에서 10만분의 1까지 태양광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촬영의 예는 다음과 같다. [예1] 필름; ISO 100 필름 조리개; f/8 ∼ f/11 노출시간; 1/500초 필터; ND400 + ND8 + ND2 (세가지 필터를 겹쳐서 사용함) [예2] 필름; ISO 32 슬라이드 필름 조리개; f/5.6 노출시간; 1/500초 필터; ND400 + ND8 + ND2 (또는 ND4) (세가지 필터를 겹쳐서 사용함) 그리고 일식의 전 과정을 찍고자 할 때에는 다중노출 촬영이 좋다. 다중노출이란 필름 한 장에 여러 차례 촬영한 영상을 겹쳐지게 하는 기법을 말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태양이 달에 가렸다가 나타나는 파노라마를 필름에 담을 수 있다. 이 때 주의해야 할 것은 구도를 결정할 때 태양의 진행 방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한편 사진 배경에 나무나 교회탑과 같은 지형지물을 배치하면 운치있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06 1997-03
No. 4
일련번호:KAO-PR 9703-1 배포일자:1997년 3월 6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3월 9일, 천문대 본대(대덕 연구단지 소재)에서는 일식의 진행상황을 널리 알리기 위해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1. 200mm 태양망원경을 이용하여 태양의 투영상을 보여준다. 2. 102mm 망원경에 태양 필터(sun filter)를 장착, 태양의 확대 영상을 제공한다. 한편 천문대에서 차로 5분 거리인 대전과학교육원 주차장에서는 대전충청아마추어천문학회 회원들이 5∼6대의 망원경으로 태양을 관측·촬영할 예정이다. 이들은 노트북 컴퓨터와 CCD 카메라를 이용, 일식의 진행 광경을 관측할 계획이다. 일식의 진행 상황은 지난 2월 25일 기자간담회 때 천문대에서 배포한 그림(보도자료 9702-3)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번 일식 이전에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었던 것은 1995년 10월 24일의 부분일식이었으며, 이번 일식은 금세기 한국에서 관측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된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다음 번 일식은 2001년 12월 14일에 일어나며(부분일식), 2035년 9월 2일의 일식은 한반도에서도 개기일식으로 볼 수 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26 1997-02
No. 3
일련번호:KAO-PR 9702-3 배포일자:1997년 2월 26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1997년 7월 1일에 윤초 실시 세계시를 관리하는 미해군성 해군천문대(USNO; U. S. Naval Observatory)의 통보에 따라 오는 한국 표준시로 1997년 7월 1일 08시 59분 59초에 양(+)의 윤초를 실시한다. 즉 한국 표준시로 1997년 7월 1일 08시 59분 59초와 09시 00분 00초 사이에 08시 59분 60초를 삽입한다(아래 도표 참조). 윤초 실시 이전의 09시 01초는 실시 후 09시 정각이 된다. 따라서 08시 59분 정각과 09시 정각 사이의 시간 간격은 61초가 되어 평상시 보다 1초가 길어지는 것이다. 우리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을 기준으로 시각을 측정한다. 그러나 지구의 자전이 서서히 느려지기 때문에 원자시계로부터 측정한 원자시와 차이가 생겨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윤초를 시행하는 것이다. 천문학자들은 지구 자전의 미세한 변화를 알아내기 위해 초장기선 전파간섭계(VLBI :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er)를 사용한다. 이 때 천문학자들은 관측 가능한 가장 먼 천체인 퀘이사 (quasar)를 이용, 지구 자전의 변화량을 감지한다. 그리고 자전과 원자시가 1초의 차이를 보일 때 윤초를 넣는 것이다. 윤초는 1972년 국제자전국(IERS; International Earth Rotation Service)에 의해서 처음 실시됐으며, 실시 간격은 6개월에서 2년 6개월 사이다. 이번 윤초는 1996년 1월 1일 이후 1년 6개월 만에 실시하는 것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산 36-1 천문대 천문정보연구실 (전화)042-865-3266(FAX)042-861-5610
21 1997-02
No. 2
일련번호:KAO-PR 9702-2 배포일자:1997년 2월 21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지난 2월 14일 새벽 6시 보현산천문대 1.8m 반사 망원경에 CCD 카메라를 부착하여 촬영한 헤일-밥 혜성(Comet Hale-Bopp)의 모습이다.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3가지 필터(B, V,R 필터)를 통하여 각각 찍힌 3장의 사진들을 합성, 사람의 눈에 감지되는 실제 색에 가깝도록 처리했다.작은 사진은 큰 사진을 미디언 필터링(median filtering)이라 는 컴퓨터 화상처리 기법으로 처리한 결과로써 혜성의 핵에서 분출되는 여러 개 제트(jet)의 미세한 모습이 포착 되었다.제트가 곡선 모습으로 나타난 것은 혜성이 자전과 세차 운동을 동시에 일으키기 때문이다. (촬영: 김승리 연구원) --사진은 연합통신에 문의 --대전 지역은 사진 직접 수령 요망(3.5인치 미니 프로피 디스켓 필요)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산 36-1 천문대 천문정보연구실 (전화)042-865-3266(FAX)042-861-5610
19 1997-02
No. 1
일련번호:KAO-PR 9702-1 배포일자:1997년 2월 19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지난 2월 14일 새벽 소백산천문대 61cm 반사 망원경으로 촬영한 헤일-밥 혜성(CometHale-Bopp)의 최근 모습이다. 이것은 CCD 카메라를 이용해서 찍었으며, 혜성의 특이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특별한 컴퓨터 화상처리를 거쳤다. 그 결과 혜성 핵을 중심으로 5∼6개의 뿔처럼 생긴 모양이 보이는데, 이것은 혜성의 제트(jet) 현상 때문이다. 제트 란 혜성 핵에서 빠른 속도로 분출하는 가스의 흐름을 일컫는다. 여기서 제트가 곡선으로 나타난 것은 혜성이 자전 과 세차 현상을 동시에 일으키기 때문이다. 현재 헤일-밥 혜성의 밝기는 약 1.2등급이다. 이것은 2등급인 북극성보다 밝으며, 오리온자리 베타별(βOri)인 리 겔(Rigel)에 해당하는 밝기다. 현재 이 혜성은 해뜨기 전 동쪽 지평선 낮게 떠있으며, 뿌연 코마와 함께 꼬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사진은 연합통신에 문의 --대전 지역은 사진 직접 수령 요망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산 36-1 천문대 천문정보연구실 (전화)042-865-3266(FAX)042-861-5610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