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Total 886 RSS
15 1998-10
1999년 1월 1일 윤초 실시
No. 26
일련번호:KAO-PR 9810-1 배포일자:1998년 10월 15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1999년 1월 1일 윤초 실시 천문대는 국제지구자전국(IERS; International Earth Rotation Service)의 통보에 따라 오는 1998년 12월 31일 24시 UTC(세계협정시) (한국표준시 1999년 1월 1일 오전 9시)에 양(+)의 윤초를 실시한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999년 1월 1일 오전 8시 59분 59초와 09시 00분 00초 사이에 08시 59분 60초를 삽입한 다(아래 도표 참조). 따라서 윤초 실시 이전의 09시 01초는 실시 후 09시 정각이 된다. 그리고 08시 59분 정각과 09시 정각 사이의 시간 간격은 61초가 되어 평상시보다 1초가 길어진다. **참고자료** UTC (세계협정시)와 윤초 1960년 이전에는 평균태양일을 기준으로 한 "평균태양초" (1일=24시간, 1시간=60분, 1분=60초→1일=86400초)가 쓰이다가 1967년까지는 좀 더 정밀한 "역표초"(Ephemeris Second)가 사용되었다. 그 이후 국제천문연맹(IAU)은 1967년, 세슘 원자시계에 기본을 둔 "원자초"를 새로운 시간단위로 채택했으며, 이 때부터 "원자시"(Atomic Time; TAI)라는 말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원자시"는 세슘-133 원자의 진동수를 기준으로 정했기 때문에 지구자전 에 기본을 둔, 실제 우리가 사용하는 시간과 차이를 보인다. 이에 따라 천문학자들은 각국 천문대의 망원경을 이 용, 별의 위치 측정자료를 바탕으로 지구자전주기를 정밀하게 측정, 그 차를 보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한 시간을 세계시(Universal Time: UT1)라고 부르며, 국제지구자전국(IERS)에서 각국 천문대의 관측자료를 종 합,분석하여 결정한다. 현재 국제적으로 사용 중인 세계협정시(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는 세계시(UT1) 1972년 1월 1일 0시를 기점으로 사용한다. 곧 이 날 0시를 기준으로 "원자시"와 "원자초"를 적용, 시각 및 시간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UTC는 항상 "원자시"와 정수배 만큼 차이가 나고, UT1과의 차이는 0.9초 이내가 되도록 유지된다. 그리고 이 시간 은 각국의 세슘원자시계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국제시보국(BIPM)에서 유지하고 있다. 국제지구자전국(IERS)에서는 UT1과 UTC의 차가 0.9초 이상이 되면 UTC의 정의에 따라 UTC에 1초를 더하거나 빼주 는 윤초(Leap Second)를 발표한다. 윤초는, 지구 자전속도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시간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1 초를 더해주거나 빼주는 것을 말한다. 윤초는,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2년 6개월마다 해당 월 마지막 날에 실시 한다. 이 때, 59초 이후 60초를 삽입하는 것을 양(+)의 윤초, 58초 이후 59초를 삭제, 0초를 만드는 것을 음(-)의 윤초라고 정의한다. 윤초를 실시하는 달은 12월과 6월(UTC)이 우선적으로 채택된다. 현재까지 윤초 실시 현황을 보면 1972년에는 6월, 12월 2회에 걸쳐 양(+)의 윤초가 실시되었고, 1973년부터 1979 년까지 매년 12월말에 양(+)의 윤초를 실시했다. 그 후 1981년, 1982년, 1983년, 1985년, 1992년, 1993년, 1994 년, 1997년 6월말에 양(+)의 윤초를 실시했고, 1987년, 1989년, 1990년, 1995년 12월말 양(+)의 윤초를 삽입했다. 이번 윤초는 한국시간으로 1997년 7월 1일 이후 1년 6개월만에 실시하는 것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20 1998-08
No. 25
일련번호:KAO-PR 9808-1 배포일자:1998년 8월 20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 룹 제목:부분일식 진행상황 통보 오는 8월 22일 금환일식이 있다. 금환일식은 태양-달-지구가 일직선상에 있어 달이 태양을 가리되, 달의 겉보기 크기가 태양보다 작아 태양의 변두리 부분은 가리지 못함으로써 태양의 모습이 반지모양을 나타내는 현상을 말한 다. 한편 금환일식이 관측 가능한 지역은 보르네오 섬, 수마트라 섬 등에 국한되며, 우리 나라의 경우 남부지역에 만 부분일식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부분일식은 태양의 일부만 가리는 현상을 말한다. 우리 나라에서 관측 가능한 주요 지역의 일식 진행 상황은 아래 표와 같다. 우리 나라에서 관측 가능한 주요 지역에서의 식의 진행 상황 식의 진행 상황 식의 시작 식의 최대 식의 종료 지 역 시 각 시 각 식 분 시 각 광 주 마 산 목 포 여 수 제 주 9시 39분 9시 44분 9시 32분 9시 34분 9시 20분 9시 52분 9시 55분 9시 52분 9시 53분 9시 51분 0.01 0.01 0.02 0.02 0.06 10시 06분 10시 04분 10시 10분 10시 12분 10시 23분 *식분은 식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식을 당한 부분과 태양의 직경과의 비로 표시한다. *자세한 사항은 천문대 홈페이지 http://hanul.issa.re.kr/~knkim/eclipse.html에 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15 1998-06
No. 24
일련번호:KAO-PR 9806-2 배포일자:1998년 6월 15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혜성 발견자를 위한 "에드가 윌슨상" 제정 한해 동안 전세계 모든 혜성 발견자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에드가 윌슨(Edgar Wilson) 상"이 제정되었다. 이 상 은 1976년 타계한 에드가 윌슨의 유언에 따라 수여되는 것으로 상금 총액은 2만불이다. 그러나 발견자가 전문 연구 기관의 장비를 이용할 경우에는 수상 대상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수상 대상자는 대부분 아마추어 천문가이다. 상금(2만불)은 한해 동안 혜성을 발견한 아마추어 천문가들의 기여도에 따라 균등하게 배분되는데, 각 발견자에 게는 혜성 발견 건수당 1점씩 점수가 부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총액 2만불을 혜성 발견자들에게 부여된 점수의 총점으로 나누어 획득 점수에 비례하는 금액을 발견자들에게 수여한다. 따라서 한 명이 여러 개의 혜성을 발견하 는 경우 그 만큼 상금이 많아진다. 그러나 2명 이상이 혜성을 공동으로 발견할 경우 개개인에게는 1점씩이 가산되 므로 1인당 받을 수 있는 상금의 액수는 작아진다. 그리고 한 혜성을 여러 명이 독립적으로 발견하면 각각 1점씩 점수를 받는다. 그러나 마땅한 수상 대상자가 없을 경우 한해 동안 혜성 연구에 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가장 기여도가 큰 사람(들)에게 상을 수상한다. 수상자 선정 및 상금 액수의 결정은 국제천문연맹의 자문을 받아 미국 하버드대학 부설 스미소니언 천문대에서 시행하며, 매년 6월 11일 9시(한국 시각)부터 다음해 6월 11일 9시 사이에 발견한 혜성에 한한다. 제1회 수상은 1999년부터 시행하며, 올해 6월 11일부터 내년 6월 11일 사이에 발견된 혜성 발견 건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수상자는 매년 7월 중에 발표한다. 에드가 윌슨은 미국 켄터키주 렉싱톤(Lexington) 출신으로 1976년 타계했으며, 고인의 사재는 유언에 따라 하버 드 대학 부설 스미소니언 천문대에 기증되었다. 천문대는 국내 아마추어 천문가가 새로운 혜성 또는 천체를 발견 해 알려오면 즉시 보현산천문대와 소백산천문대 망원경으로 이를 확인해 주며, 발견 사실을 국제천문연맹에 신속하 게 알릴 예정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산 36-1 천문대 천문정보연구실 (전 화) 042-865-3266 (FAX) 042-861-5610 http://hanul.issa.re.kr/∼knkim/pr.html
10 1998-06
천문대, 천문관측용 CCD 시스템 국산화 성공
No. 23
일련번호:KAO-PR 9806-1 배포일자:1998년 6월 10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천문대, 천문관측용 CCD 시스템 국산화 성공 천문대는 고가연구장비 수입대체화 노력의 일환으로 천문관측용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결합소자) 시스 템의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 연구는 95∼98년까지 3년간 두 개 분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이 가운데 우주과학연구그룹 (연구책임자: 한원용 박사)은 CCD 소자를 제외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 전체 시스템의 완전 국산화에 성공함으로써 5개 분야에 대한 특허출원을 마쳤으며(『천문대소식』지 4·5월호 1면 참조), 보현산천문대 (연구책임자: 천무영 박사)는 1.8m 망원경과 다른 관측장비에도 응용 가능한 2k CCD 시스템 의 자체개발에 성공했다( 『천문대소식』지 4·5월호 4면 참조). 우주과학연구그룹이 이룩한 쾌거로 천문대는 천문대 뿐만 아니라 국내 대학의 연구 및 교육용 CCD 관측 시스템 을 싼 가격에 국산품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나아가 인공위성 탑재용 영상관측장비, 근적외선 측정장비 등 교육 및 산업 등에 널리 응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보현산천문대가 개발한 2k CCD 시스템은 기존 장비의 촬영영 역을 4배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관측시간을 1/4 이하로 절약, 망원경의 효율이 4배 이상 증가되었다고 평가된다. 두 시스템의 성공적인 개발로 국내의 관측장비 제작·설계기술은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다. 우주과학그룹이 개발한 시스템으로 관측한 M51 보현산천문대가 촬영한 산개성단 NGC 2099-1K 보현산천문대가 촬영한 산개성단 NGC 2099-2K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12 1998-05
SOHO 혜성 육안 관측 어려워
No. 22
일련번호:KAO-PR 9805-2 배포일자:1998년 5월 12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SOHO 혜성 육안 관측 어려워 국제천문연맹(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이 5월 12일 새벽(한국 시간) 전보로 알려온 바에 따르면, 5월 에서 6월 초에 이르기까지 우리 나라에서 맨눈으로도 쉽게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SOHO 혜성(C/1998 J1) (5 월 6일 배포된 보도자료 KAO-PR 9805-1 참조)의 관측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혜성의 밝기가 처음 예상 보다 급격히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정된 혜성의 밝기는 5월 12일 1.0등급, 5월 17일 3.2등급, 5월 22일 4.6등 급, 5월 27일 5.7등급으로, 국제천문연맹의 첫 발표 때 밝기 5월 12일 -0.7등급, 5월 17일 1.2등급, 5월 22일 2.6 등급, 5월 27일 3.6등급과 많은 차이가 있다. * SOHO 혜성에 대한 자세한 자료와 사진은 천문대 한글 홈페이지 (http://hanul.issa.re.kr/~knkim/9805-1.html)에 서 찾을 수 있다. * 새로운 궤도계산자료를 이용해서 그린 SOHO 혜성(C/1998 J1)의 별자리상 움직임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06 1998-05
혜성 SOHO 발견
No. 21
일련번호:KAO-PR 9805-1 배포일자:1998년 5월 6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혜성 SOHO 발견 국제천문연맹(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이 5월 6일 새벽(한국 시간) 전보로 알려온 바에 따르면, 5월에 서 6월 초에 이르기까지 우리 나라에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밝은 혜성이 발견되었다. C/1998 J1 혹은 SOHO라고 명명된 이 혜성은 SOHO(The SOlar and Heliospheric Observatory)에 참가하고 있는 미국 해군 연구소 소속의 천문 학자 S. Stezelberger에 의하여 발견되었는데, 태양에 최고로 접근하는 5월 9일 전후 헤일-밥 혜성만큼이나 밝은 - 1.4등급을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 혜성은 태양에 아주 가까이 있어(약 8도의 각거리) 관측이 쉽지 않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태양으로부터 차차 멀어지기 때문에 5월 중순∼6월 초순에는 일몰 후 서쪽하늘 낮게 관측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혜성 은 5월 9일 이후 차차 어두워지기 시작하여 5월 12일에는 -0.7등급, 5월 17일에는 1.2등급, 5월 22일에는 2.6등 급, 5월 27일에는 3.6등급, 6월 1일에는 4.5등급을 유지한다. 따라서 밝기가 5등급 이하로 떨어지는 6월 초순 이후 로는 망원경의 도움없이 맨눈으로 볼 수 없고, 6월 하순 이후로는 혜성이 남반구의 하늘로 이동하기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는 망원경으로도 볼 수 없다. 천문대는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는 대로 계속 보도자료를 낼 예정이다. 현재 이 혜성의 근일점 거리(태양에 최고 로 접근하는 거리)는 지구와 태양 사이 평균 거리(약 1억 5천만 km)의 0.17배인 약 2,550만 km로 알려졌다. ※SOHO : 미국의 NASA와 유럽 여러 나라가 결성한 ESA(European Space Agency)가 공동으로 발사한 태양 관측 위성 으로 현재 태양을 공전하고 있다. -------------------------------------------------------------------------------- C/1998 J1 (SOHO)의 천구상 위치 -------------------------------------------------------------------------------- -------------------------------------------------------------------------------- SOHO/LASCO-C3 이미지 상에 나타난 혜성 (C/1998 J1) -------------------------------------------------------------------------------- 이 사진은 SOHO 위성에 탑재된 LASCO라는 관측기기의 3번 카메라, C3로 촬영한 것이다. LASCO에는 코로나그래프 (coronagragh)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것은 태양을 인위적으로 가리는 장치이다. 사진 중심에 보이는 흰색 원은 태 양의 위치와 크기를 표시한 것이며, 그보다 큰 원이 바로 코로나그래프이다. 코로나그래프 주변에 방사상으로 뻗 어 있는 것은 태양의 코로나(corona)이다. 혜성 C/1998 J1은 사진 상단 오른쪽에 나타나 있으며, 코마와 꼬리가 발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 ESA, NASA, NRL) 1998년 5월 4일 21시 31분 1998년 5월 5일 12시 53분 1998년 5월 5일 20시 37분 img src="newimages/slas_c3wlc_fd_19980506_1246.gif"width="500" height="400" border="0"> 1998년 5월 6일 12시 46분 1998년 5월 6일 21시 41분 1998년 5월 7일 11시 46분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09 1998-04
천문대, 소행성 『세종』사진공개
No. 20
일련번호:KAO-PR 9804-1 배포일자:1998년 4월 9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천문대, 소행성 『세종』사진공개 천문대는 지난 4월 4일 새벽 0시 및 1시 25분에 촬영한 소행성 "세종"(1996 QV1)의 사진 두 장을 공개한다. 이 사진은 천문대 산하 보현산천문대의 1.8m 광학망원경을 이용하여 5분 동안 노출, 촬영한 것이다. 이 소행성의 위 치는 천문대에서 계산했다. 현재 "세종"은 게자리에 있으며, 이 별자리는 초저녁부터 이른 새벽까지 볼 수 있고, 저녁 8시경 남쪽 하늘 높 이 떠있다. 그러나 이 소행성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별 밝기의 백만분의 1 정도에 불과하여 소형 천체망원경으로는 관측할 수 없다. 사진은 아래와 같다. 소행성 세종 (1996 QV1)의 궤도 운동 ▶ 망원경 및 카메라 : BOAO 1.8m 망원경 + 2K CCD 카메라 (2×2) ▶ 좌표 : (9h 18m 1.8s, 14°45′23″) 1998년 4월 4일 0시 KST ▶ 관측자 : 박병곤, 최호성 ▶ 사진 설명 : 사진 중앙 왼쪽에 화살표로 표시한 것이 소행성 "세종"이며, 1시간 25분 간격으로 촬영했다. 두장의 사진에서 "세종"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관측 1. 1998년 4월 3일 UT 14:59:32, I filter 300초 노출, 시야 = 512 ×512 (5.8 ×5.8 ) 관측 2. 1998년 4월 3일 UT 16:24:37, I filter 300초 노출, 시야 = 512 ×512 (5.8 ×5.8)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25 1998-03
No. 19
일련번호:KAO-PR 9803-3 배포일자:1998년 3월 25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천문대는 과학의 달 4월을 맞이하여 시도 과학교육원, 사설 천문대와 함께 별의 축제 98을 개최한다. 지역 별 행 사 일정, 장소, 연락처는 아래와 같다. ★과학교육원★ 과학교육원 일 시 장 소 연 락 처 강원과학교육원 98. 4.23 19:00-21:00 강원과학교육원 0361-51-6430 경기과학교육원 98. 4.22∼4.24 19:00-21:00 경기과학교육원 0331-2501-725 경남과학교육원 98. 4. 6∼4. 7 18:00-22:40 경남과학교육원 0551-46-0071 경북과학교육원 98. 4. 8, 10, 17, 22, 24 19:00-21:00 경북과학교육원 0562-48-9988 광주교육과학연구원 98. 4. 2 19:00-21:00 광주교육과학연구원 062-227-1341 대전과학교육원 98. 4.30 19:00-21:00 대전과학교육원 042-862-2854 부산과학교육원 98. 4.7∼4.10 18:00-22:00 부산과학교육원 051-759-0904 전남과학교육원 98. 4.21 19:00-21:00 전남과학교육원 0613-31-2812 제주과학연구원 98. 4.30 19:00-22:00 제주시 탑동광장 064-58-9962 ★사설천문대★ 사설천문대 일 시 연 락 처 비 고 선두천문대 4월 주말 0434-535-1014 시설 사용료, 숙박 등 조건 확인 바람 성암천체관측소 98. 4.11 15:00∼22:00 98. 4.12 19:00∼22:00 0684-82-7456 세종천문대 4월 주말 0337-83-4147 안성천문대 4월 주말 0334-677-2245 영월 별마을 천문학교 4월 주말 02-587-3346 코스모피아 4월 주말 0356-85-0482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12 1998-03
No. 18
일련번호:KAO-PR 9803-2 배포일자:1998년 3월 12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지구 최근접 소행성 발견 국제천문연맹(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이 천문대에 알려온 바에 따르면 지구와 상당히 가까운 거리를 두고 통과하는 소행성이 새로 확인되었다. 이 천체는 미국 아리조나 대학에서 "스페이스 워치 프로그 램"(Space Watch Program) 수행 중 1997년 12월 6일 J. V. Scotti가 처음 발견했으며, 곧 "잠정적으로 위협을 줄 수 있는 소행성"(PHAs; 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s)으로 분류되었다. 천문학자들은 이것을 "1997 XF11"로 명명하고 발견 이후 88일에 걸친 관측 데이터를 종합, 1997 XF11의 궤도를 계산했다. 분석 결과 1997 XF11이 2028년 10월 27일 03시 (한국표준시) 무렵 지구 중심으로부터 약 46,000km(지구 지름의 약 3.6배)의 거리를 두고 통과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것은 정지궤도상 통신위성의 고도에 근접하는 거리로서 현재까지 알려진 "PHAs"의 지구 접근 거리 중 가장 작은 값이지만, 계산에 오차는 있을 수 있다. 앞으로 관측 자료가 축적되면 천문학자들 은 소행성 "1997 XF11"에 관하여 더욱 정밀한 궤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 소행성의 밝기는 약 21등급을 유지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공전주기는 1.73년으로 3월 현재 이 소행성까지의 거리는 약 3억km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05 1998-03
No. 17
일련번호:KAO-PR 9803-1 배포일자:1998년 3월 5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1999년 월력요항 발표 천문대는 1999년 월력요항을 발표했다. 1999년은 기묘년(己卯年), 토끼의 해이며, 단기 4332년이다. 1999년에는 52일의 일요일과 17일의 법정공휴일 (신정·설날·추석연휴 포함)을 통틀어 총 공휴일 수는 69일이지만, 법정 공휴일인 현충일(6월 6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등 3일이 일요일과 겹치므로 실제 공휴일 수는 66일이다. 이것은 1998년의 실제 공휴일 수 65일보다 1일이 더 많은 것이다. 한편, 이틀 계속되는 연휴는 5회로, 삼일절인 3월 1일(월), 식목일인 4월 5 일 (월), 석가탄신일인 5월 22일(토), 제헌절인 7월 17일(토), 성탄절인 12월 25일(토)이 일요일과 연이어 있다. 사흘 계속되는 연휴는 1회로, 신정 연휴인 1월 1일∼2일(금∼토)이 일요일과 연결되어 있으며, 나흘 계속되는 연 휴로는 2회로, 설날 연휴인 2월 15일∼17일 (월∼수), 추석 연휴인 9월 23일∼25일(목∼토)이 일요일과 연이어 있다. 그러나 현재 정부에서 공휴일 축소안을 검토하고 있으므로 1999년 공휴일 수는 바뀔 수도 있다. 또한 1999년의 국정 기념일은 모두 36일이며, 지난 1998년에는 모두 4일의 기념일이 바뀌었는데, 그것은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노인의 날(10월 2일)", "순국선열의 날(11월 17일)"이 추가되었고, "농어업인의 날"이 "농업인의 날"로 변경되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