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Total 886 RSS
20 1999-08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을 이용하여 초신성 SN 1999dm 발
No. 36
일련번호:KAO-PR 9908-2 배포일자:1999년 8월 20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을 이용하여 초신성 SN 1999dm 발견 한국천문연구원(원장:李愚伯)은 이명균/박창범 교수가 이끄는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초신성 탐색팀이 1999년 6월 18일에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을 이용하여 지구로부터 약 10억 광년 떨어진 Abell 2065 (천문학 자 Abell이 작성한 은하단 목록에서 2065번) 은하단의 164번 은하 (Abell 2065-164)에서 18.8등급의 초신성을 발견 하였음을 발표하였다. 국제 천문연맹에 새로운 초신성일 가능성이 보고된 후,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의 전영 범 연구원팀은 지난 8월 12일 추가 관측을 수행하여 이 천체가 21.2등급으로 어두워져있음을 밝히고, 새로운 초신 성임을 확인하였다. 이 사실은 미국 Lick 천문대의 M. Bolte교수에 의해 8월 12일 독립적으로 재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국제천문연맹 (IAU)은 이 초신성을 새로운 초신성으로 공식 확인하고, "SN 1999dm"으로 명명하여 1999년 8월 14일자 (미국시간) 국제천문연맹회람 (IAU Circular) 7237호에 이 사실을 발표하였다. 1604년 이후 한국에서 최초로 초신성을 발견한 이명균 교수팀은 지난 해부터 보현산천문대의 1.8m 망원경을 이용 하여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단의 초신성을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초신성은 질량이 큰 별이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폭발할 때 갑자기 매우 밝아지는 별로서, 그 밝기는 종류에 따라 일정하기 때문에 종류를 알면 그 초신성이 속한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초신성은 아주 멀리 떨어져있는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 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되어 우주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현재 미국, 호주, 중국 등에서는 전용 망 원경을 이용한 초신성 탐색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어, 일년에 백여 개의 초신성이 발견, 연구되고 있다. 초신성 의 종류는 광도 변화의 추이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발견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측이 필요하다. 이번 발견으로 국내 기술과 장비를 이용한 우주의 거시구조 연구가 진일보 한 것으로 평가되며, 차후 장비와 인 원이 확충되면 이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 된다. ★ 연구 문의: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초신성 탐색팀    (팀장: 이명균 교수, ☎02-880-6684,@http://astro.snu.ac.kr/supernova) 그림) 왼쪽의 1월 17일의 영상과 비교하면 6개월 후에 촬영한 오른쪽의 6월 18일자 영상에 아벨 2065-164 은하 북쪽에 밝은 초신성 (화살표)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 (042-865-3226) FAX (042-861-5610)
17 1999-08
No. 35
일련번호:KAO-PR 9908-1 배포일자:1999년 8월 17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국제천문연맹(IAU)의 "천체화학 국제 심포지움" 개최 한국천문연구원(원장:李愚伯)에서는 국제학술회의인 국제천문연맹 심포지움 197, "천체화학: 성간분자운에서 행 성계까지 "(IAU Symposium 197 , Astro- chemistry: From Molecular Clouds to Planetary Systems)를 99년 8월 23 일부터 8월 27일 까지 제주도 서귀포 하야트호텔에서 개최할 예정입니다. 국제천문연맹(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은 세계 90여개국이 가입한 천문우주분야의 세계적인 국제 기관으로 회원은 만여명에 이릅니다. 이번 우리나라에서 개최하는 국제천문연맹 심포지움은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천문 우주관련 학술대회로 국내에서 는 최초로 열리는 것입니다. 우주의 화학적 구조에 대한 최신 과학정보를 발표하고 교환하게 될 이 심포지움에는 국내 천문학자 100여명을 포 함하여 외국의 25개국 정상급 과학자 약 300여 명이 참가할 예정입니다. 외국인 초청강연자 42편의 논문과 170명 의 포스터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번 심포지움은 지난 1991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제안하여, 1996년 네덜란드 심포지움에서 의결되었고, 1998년 7월 IAU 운영위원회에서 한국 개최가 승인되었습니다. 21세기 우주과학 시대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되고 있는 현실 에서 천문우주 관련 이번 국제 심포지움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천문학 연구 수준을 한 단계 높힐 수 있는 좋은 기회 가 될것입니다. *의문점이나 자료가 필요하신 경우는 한국천문연구원 민영철 박사(☎042-865-3263, FAX: 042-865-3272, email: minh@trao.re.kr)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21 1999-07
부분월식
No. 34
Untitled 일련번호:KAO-PR 9907-2   배포일자:1999년 7월 21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부분월식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 李愚伯)은 오는 7월 28일에 있을 부분월식을 아래와 같이 발표합니다.부분월식은 달의 일부분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으로 이번 부분월식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측가능하다.이 부분월식은 28일 저녁 17시 56분에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가려지는 반영식이 시작되어 달이 점점 어두워지기 시작한다.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가려지는 시각은 달뜨기 전인 저녁 19시 22분이며, 19시 36분 달이 뜬 후에도 식이 계속 진행되어 지구의 그림자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는 21시 45분까지 약 2시간 23분 동안 월식이 진행된다. 월식이 종료된 후에도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에 있기 때문에 달이 어둡게 보인다. 23시 11분에 반영식이 종료되어 달의밝기가 정상이 된다. 최대 식분은 0.402로 달 지름의 약 40%정도 가려진다. (아래 그림 참조)7월 28일 월출시각은 19시 36분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부분월식이 시작된 후의 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부분월식은 아시아 북동부, 일본, 한국, 호주, 뉴질랜드, 하와이, 아메리카북부, 중부 아메리카, 아메리카의 서부, 남극 대륙, 태평양등에서 볼 수 있다. 다음표는 부분월식의 진행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부분월식 진행상황 진 행 상 황시 각(KST) 진 행 상 황 시 각(KST) 반 영 식 의 시 작 7월 28일 17시 56.3분 월 식 의 종 료 7월 28일 21시 45.5분 월 식 의 시 작 28일 19시 22.0분 반 영 식 의 종 료 28일 23시 11.0분 부 분 식 의 최 대 28일 20시 33.7분 부분식의 최대 식분 0.402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14 1999-07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우리별3호 촬영 성공
No. 33
Untitled 일련번호:KAO-PR 9907-1   배포일자:1999년 7월 14일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우리별3호 촬영 성공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李愚伯)은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을 이용 지난 6월 8일 0시20분 (한국 시각)에 우리별 3호의 궤적을 촬영하는데 성공했다.(사진 참조 : 사진 중 대각선이 우리 별 3호가 지나간 궤적이다).   이번 촬영은 한국천문연구원이 독자적으로 수행한 "정밀궤도 계산 S/W" 및 "극미광 영상관 측시스템"의 성공적 개발로 가능해진 것으로 지상 720 km 상공을 초속 7.5 km로 지나가는 작 은 물체(크기 : 50cm × 60cm × 85cm)까지도 추적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시스템을 발전시키면 한반도 상공을 통과하는 어떤 작은 위성이라도 추적이 가 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최근 문제시되는 인공위성에 의한 재난 등의 사전 예방도 가능해 질 수 있게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위성촬영 전용망원경" 등이 필수적이므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망된다. 참고로 1999년 7월 현재 지구 상공에는 2601개의 정상적인 위성과 6129개의 폐기된 위성이 있다.   좀더 자세한 자료는 보현산 천문대 한원용 박사님께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Tel 0563-330-1000(보현산천문대),042-865-3255(한국천 문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01 1999-06
소행성1999AN<sub>10</sub>지구근접(2027)
No. 32
Untitled 일련번호:KAO-PR 9906-1   배포일자:1999년 6월 1일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천문대는 5월 21일 부로 한국천문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소행성 1999AN10의 2027년 지구 근접   소행성 1999AN10에 대한 지구 충돌 가능성 발견 이후 꾸준히 논의되어 왔다. 이 소행성은 1999년 1월 13일에 MIT와 미 공군 천문대가 공동 발견한 것으로 1.76(1년 9개월)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공전궤도면은 지구의 궤도면과 약 40도 정도 기울어져 있다. 초기 이탈리아 과학자들에 의해 충돌이 논의 된 이후 최근까지의 결과에 따르면 이 소행성은 2027년 8월 7일(약간 변경될 수도 있음) 지구와 충돌은 하지 않지만 지구 표면으로부터 약 30,000 km까지 근접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거리는 지구-달 간의 거리의 1/13로 상당히 지구에 접근함을 의미하며, 소행성의 크기가 아직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대개 수 km 정도일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경우 30,000 km까지 접근하며 맨눈으로 관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아마추어용 소형 망원경을 이용하면 그 모습을 확인할 수도 있다.   문제의 제기는 비록 이 소행성이 2027년 지구에 충돌은 하지 않는다 할 지라도 근접했을 때 지구 중력의 영향으로 궤도의 변경이 있을 것이며, 변경된 궤도로 인해 그 몇 년 후에 지구와 충돌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확율은 아주 미미함). 그 전형적인 예가 슈메이커-레비 혜성인데 이 혜성은 처음 목성을 지날 때에는 단지 목성에 근접했을 뿐이었으나 두 번째 접근인 1994년에는 목성과 충돌했다.   만약 소행성 1999AN10이 지구와 충돌하게 되면 히로시마 원자폭탄 수 천만개의 폭발에 맞먹는 파괴력을 지니며, 이와 같은 충돌은 확률적으로 수십 만년에 한번 정도에 불과하므로 실제 가능성은 아직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1997년에 발견된 소행성 1997XF11 역시 2028년 10월 27일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하바드대학 마스덴 박사가 발표한 바가 있으나 나중에 충돌이 아니라 단지 지구에 근접할 뿐인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로 지름이 수십 m 정도 크기의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할 확률은 100년에 3번 정도가 되며, 20세기에 있었던 큰 충돌로는 1908년 시베리아 퉁구스카 지역의 사방 20 km 지역을 황폐화한 사건과 1972년 태평양 한복판에 떨어진 소행성 등이 있다.   그 외 미국 정보부가 공개한 자료를 토대로 하면 최근 수 십 년간 지구 대기 상공에서 폭발한 작은 소행성은 수 백 개가되며 그 중 우리 나라 부근으로는 동해안과 서해안에 각각 1개씩 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7년 1999AN10 예측 궤도 이 그림은 별바라기 자료를 편집한 것입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http://hanul.issa.re.kr/Korean/kao-pr/9906-1.htm
02 1999-04
제 25회 별의 축제
No. 31
일련번호:KAO-PR 9904-1 배포일자:1999년 4월 2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제 25회 별의 축제 한국천문연구원은 과학의 달을 맞이하여 제 25회 별의 출제를 전국 각 시도 과학교육원 및 사설천문대와 함께 실 시한다. 천문대는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본부와 경북 영천시에 있는 보현산천문대에서 별의 축제를 시행하며, 구체 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천문대 본부 별의 축제 일시 : 4월 26일 오후 7시 ∼10시까지 장소 : 대덕연구단지 한국 천문연구원 본부 내용  천체관측회  달, 금성, 화성, 성운 및 성단 관측.  비디오 관측 천체망원경에 비디오 시설을 연결, TV 화면을 통해 달, 행 성, 성운, 성단 등의 모습을 관측. 천체사진 촬영  천체망원경에 CCD 카메라(천문용 디지털 카메라)를 연결하여 촬영한 사진을 컴퓨터의 모니터상에 서 관측. 간이 플 라네타륨 설명 간이 천체시설에서 별자리 찾기.  비디오 상영 강당에서는 "태양계 탐사"를 상영.  전파천문대 견학 구경 14 m 전파망원경의 시설을 관 람. 천문저울 화성이나 목성 등에서 측 정한 나의 몸무게를 알아본다.  천체사진 및 고천문 장비 전시  천체사진 및 천문대가 복구한 우리나라 고천문학 장비를 전시.  기타 우천시에도 시행. 2. 보현산천문대 행사 일시 : 4월 26일 ∼27일 오 후 7시∼9시 장소 : 경북 영천시 보현산천 문대 정상 내용 천체관측 국내 최대의 망원경인 1.8 m 망원경을 비롯하여 구경 30 cm 및 구경 10 cm 망원경 등을 이용한 천체 관측. 천체 비디오 관측 천체망원경에 비디오 시설을 연결 천체를 TV 화면으로 관측. 비디오 상영 제목(우주탐사). 천체사진 전시   별자리 설명 등     3) 타 기관 행사 일정 및 장소는 아래 첨부를 참조하시고 구체적인 것을 해당 기관에 연락해 보시기 바랍니다. Hwp Down 1.천문대 2.각시도 교육과학원 3 사설 천문대 1.천문대 2.각시도 교육과학원 3 사설 천문대 1. 천문대   천문대 일시 장소 연락처 천문대 본대 99.4.26 (19:00-22:00)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대덕연구단지내 042-865-3226 보현산천문대 99.4.26 - 4.27 (19:00-21:00) 경북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0563-330-1000 2. 각시도 교육과학원   과학교육연구원 일 시 장 소 연 락 처 강원도교육과학연구원 99. 4. 22 (19:00-22:00) 강원도교육과학연구원 0361-251-6428 광주시교육과학연구원 99. 4. 15 (19:00-21:00) 광주시교육과학연구원 062-230-3559 경기도교육과학연구원 99. 4. 21 - 4. 23 (18:00-21:00) 경기도교육과학연구원 0331-250-1714 경남교육과학연구원 99. 4. 26 - 4. 27 (18:00 - 22:00) 경남교육과학연구원 0551-246-6417 경북교육과학연구원 99. 4. 19 - 4. 23 (19:00 - 21:00) 경북교육과학연구원 0562-248-9987 대전교육과학연구원 99. 4.20 (18:00 - 21:00) 대전교육과학연구원 042-862-2183 부산교육과학연구원 99. 4. 21 - 4. 22 (18:00 - 22:00) 부산교육과학연구원 051-750-1243 전남교육과학연구원 99. 4. 21(16:00 - 23:00) 전남교육과학연구원 0613-331-2812 제주교육과학연구원 99. 4. 21(19:00 - 22:00) 제주시 탑동광장 064-758-9962 3. 사설천문대   사설천문대 일 시 장소 및 연 락 처 비 고 선두천문대 4월 주말 0434-535-1014 충북 진천군 만승면 광혜원526번지 시설 사용료, 숙박등 조건 확인 요망 성암천체관측소 4월 주말 0684-382-7456 전남담양군 수북면 대방리산76번지 세종천문대 4월 주말 0337-886- 4147 경기도여주군 강천면 부초동1리472 안성천문대 4월 주말 0334-677-2245 경기도안성시 미양면 강덕리79-14 코스모피아 4월 주말 0356-585-0482 경기도가평군 하면 상판리 86번지                  &n bsp;                 & nbsp;                                     ;            1999. 4. 2.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천문대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23 1999-02
No. 30
일련번호:KAO-PR 9902-1 배포일자:1999년 2월 23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2000년 월력요항 발표 천문대는 2000년도 월력요항을 발표하였다. 2000년은 경진년 (庚辰年), 용의 해로 단군개국 4333년이 된다. 2000년은 53일의 일요일과 16일의 법정공휴일(설 날, 추석 연휴 포함)을 합하여 총 공휴일 수는 69일이 되나 법정공휴일인 설날 연휴(2월 6일)가 일요일과 겹치므 로 실제 공휴일 수는 68일이다. 이것은 1999년의 실제공휴일 수 65일보다 3일이 더 많다. 그리고 2일이 계속되는 연휴는 3회로 신정인 1월 1일(토), 제헌절인 7월 17일(월), 기독 탄신일인 12월 25일(월)이 일요일과 연결돼 있 다. 3일이 계속되는 연휴는 1회로 설날 연휴인 2월 4일 - 6일(금, 토, 일)이 있으며, 4일이 계속되는 연휴로는 1회 로 추석연휴인 9월 11일 - 13일(월, 화, 수)이 일요일과 연결되어 있다. 지난 1998년 말 법정 공휴일 개정으로 신 정 연휴는 2일에서 1일로 축소되었다. (※ 상세한 자료는 천문대 인터넷 홈페이지 : http://hanul.issa.re.kr/~knkim/9902-1.htm에서 받아 보실 수 있습 니다. Hwp Down 2000년 월력요항 1999. 2. 23. *** 주의 사항 *** 1. 천문대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천문대의 허락 없이 제 3자에게 양여 할 수 없습니다 2. 이 자료를 제공받은 후, 그 제공 목적이외에 다른 영리를 추구하는 업무에 이용하려 할 때는 천문대의 허락을 얻어야 합니다. 3. 이 자료에 게재된 시각들은 일광절약제를 적용하지 않은 시각입니다. 가. 국경일과 법정 공휴일   나. 2000년도 일요일의 날짜 다. 24절기와 잡절(2000)   라. 정부주관 기념일(2000) 마. 음력 - 양력 대조표(2000)  바. 각월의 1일의 일진(2000)    가. 국경일과 법정 공휴일   명 칭 일 자 요 일 명 칭 일 자 요 일 신 정 설 날(연휴) 삼 일 절 식 목 일 어린이 날 석가탄신일 1월 1일 2월 4일 - 2월 6일 3월 1일 4월 5일 5월 5일 5월 11일 토 금, 토, 일 수 수 금 목 현 충 일 제 헌 절 광 복 절 추석(연휴) 개 천 절 기독탄신일 6월 6일 7월 17일 8월 15일 9월 11일 - 9월 13일 10월 3일 12월 25일 화 월 화 월, 화, 수 화 월 나. 2000년도 일요일의 날짜   월 일 요 일 월 일 요 일 1 2 3 4 5 6 2 9 16 23 30 6 13 20 27 5 12 19 26 2 9 16 23 30 7 14 21 28 4 11 18 25 7 8 9 10 11 12 2 9 16 23 30 6 13 20 27 3 10 17 24 1 8 15 22 29 5 12 19 26 3 10 17 24 31      총 일요일 수 : 53일    휴무일 수 : 53 + 16 - 1 = 68일 다. 24절기와 잡절(2000)   명 칭 태 양 황 경 한국 표준시 명 칭 태 양 황 경 한국 표준시 일자와 시각 일자와 시각 소 한 대 한 입 춘 우 수 경 칩 춘 분 청 명 곡 우 입 하 소 만 망 종 하 지 도 285 300 315 330 345 0 15 30 45 60 75 90 월 일 시 분 1 6 10 0 1 21 3 22 2 4 21 40 2 19 17 33 3 5 15 42 3 20 16 35 4 4 20 31 4 20 3 39 5 5 13 50 5 21 2 49 6 5 17 58 6 21 10 47 소 서 대 서 입 추 처 서 백 로 추 분 한 로 상 강 입 동 소 설 대 설 동 지 도 105 120 135 150 165 180 195 210 225 240 255 270 월 일 시 분 7 7 4 13 7 22 21 42 8 7 14 2 8 23 4 48 9 7 16 59 9 23 2 27 10 8 8 38 10 23 11 47 11 7 11 47 11 22 9 19 12 7 4 36 12 21 22 37 토왕용사 토왕용사 토왕용사 토왕용사 297 27 117 207 1 18 4 38 4 17 1 57 7 19 18 15 10 20 11 25 한 식 단 오 초 복 중 복 말 복 4 5 6 6 7 11 7 21 8 10    라. 정부주관 기념일(2000)   명 칭 일 자    요 일 명 칭 일 자 요 일   조세의 날 상공의 날 향토예비군의 날 보건의 날 임시정부 수립기념일 4.19혁명 기념일 장애인의 날 과학의날 정보통신의 날 충무공 탄신일 법의 날 근로자의 날 어버이 날 재향군인의 날 스승의 날 성년의 날 5 18민주화 운동념일 바다의 날 월 일 3 3 3 15 4 1 4 7 4 13 4 19 4 20 4 21 4 22 4 28 5 1 5 1 5 8 5 8 5 15 5 15 5 18 5 31   금 수 토 금 목 수 목 금 토 금 월 월 월 월 월 월 목 수   환경의 날 6 25 사변일 철도의 날 국군의 날 노인의 날 한 글 날 체육의 날 문화의 날 경찰의 날 국제연합일 저축의 날 학생의 날 농업인의 날 순국선열의 날 무역의 날 소비자 보호의 날 국민교육헌장 선포기념일 세계인권선언기념일 월일 6 5 6 25 9 18 10 1 10 2 10 9 10 15 10 20 10 21 10 24 10 31 11 3 11 11 11 17 11 30 12 3 12 5 12 10   월 일 월 일 월 월 일 금 토 화 화 금 토 금 목 일 화 일   마. 음력 - 양력 대조표(2000)   음력의 월일 대 소 월 건 양력의 월일(합삭시각) 년 월  일     년 월 일 시 분 1999 12 1 소 정축 2000 1 7 3 14 2000  1 1 대 무인 2000 2 5 22 3 2000 2 1 대 기묘 2000 3 6 14 16 2000 3 1 소 경진 2000 4 5 3 11 2000 4 1 소 신사 2000 5 4 13 11 2000 5 1 대 임오 2000 6 2 21 13 2000 6 1 소 계미 2000 7 2 4 19 2000 7 1 소 갑신 2000 7 31 11 25 2000 8 1 대 을유 2000 8 29 19 19 2000 9 1 소 병술 2000 9 28 4 52 2000 10 1 대 정해 2000 10 27 16 57 2000 11 1 대 무 자 2000 11 26 8 11 2000 12 1 소 기 축 2000 12 26 2 21   (음력 : 대 -> 30일, 소 -> 29일)                    ;         바. 각월의 1일의 일진(2000)   양력의 월일 일 진 양력의 월일 일 진   년 월 일 2000 1 1 2000 2 1 2000 3 1 2000 4 1 2000 5 1 2000 6 1       무 오 기 축 무 오 기 축 기 미 경 인   년 월 일 2000 7 1 2000 8 1 2000 9 1 2000 10 1 2000 11 1 2000 12 1   경 신 신 묘 임 술 임 진 계 해 계 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천문대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25 1999-01
No. 29
일련번호:KAO-PR 9901-1 배포일자:1999년 1월 25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천문대 인사 단행 천문대(대장 이우백)는 1월 25일부로 다음과 같이 부장급 실장급 인사를 단행하였다. 보현산천문대 부장 : 한원용 검사역 : 이은호 소백산천문대 부장 : 한원용 (보현산천문대 부장 겸직) 행정실 관리과장 : 주재기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05 1998-11
한국인 최초로 소행성 1998 SG5 발견 (2)
No. 28
일련번호:KAO-PR 9811-2 배포일자:1998년 11월 5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한국인 최초로 소행성 1998 SG5 발견 (2)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이태형(李泰炯) 사무국장이 발견한 소행성 1998 SG5는 현재 약 17등급의 밝기로 물병 자리 에 있다. 요즈음 저녁에 높이 떠 있는 밝은 노란 별이 목성인데, 목성이 위치한 부근이 바로 물병 자리이다. 현재 이 소행성은 목성의 바로 왼쪽에서 하루에 보름달의 지름만큼 움직이고 있다. 이 소행성은 장반경이 2.27AU인 타원 궤도를 그리며 해를 공전하고 있다. 여기서 AU란 Astronomical Unit, 즉 "천문 단위"로 지구와 해의 평균 거리 1억 5천만 km를 말한다. 비교적 원에 가까운(이심률 = 0.19) 궤도를 그리기 때문에 항상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3.43년을 주기로 해를 공전하고 있다(참고로 해와 화성 사이 의 거리는 1.52AU, 해와 목성 사이의 거리는 5.20AU이다). 소행성 1998 SG5의 공전 궤도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피아치(Piazzi)에 의하여 1801년 처음으로 발견된 소행성은 세레스(Ceres)이다. 소행성은 주로 해로부터 2.3∼3.3AU 떨어진 거리에 분포하고 있으며 수만 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행성은 약 200개 정도만 지름이 200km가 넘을 뿐, 나머지는 이 보다 작다. 소행성 중 가장 큰 것은 세레스로 지름이 940km에 달한 다. 모양은 일정하지 않으며 대개 감자처럼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소행성들은 모두 해를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그리므로 이심률이 큰(즉, 많이 찌그러 진) 궤도를 따라 공전하는 것들은 근일점이 지구 공전 궤도의 안쪽에 있어서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도 있다. ***소행성 참고자료***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05 1998-11
No. 27
일련번호:KAO-PR 9811-1 배포일자:1998년 11월 5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한국인 최초로 소행성 1998 SG5 발견 (1) 천문대(대장 李愚伯)에서는 지난 5월 위탁연구 를 사단법인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와 협약한 바 있습니다. 연구기간은 5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7개월간이고 연구의 목적은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소행성이나 혜성을 발견하도록 만드는 데에 있었습니다. 이에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에서는 이태형 사무국장을 위탁연구책임자로 선정하고 소행성 탐색을 계속 추진한 바, 지난 9월 새로운 소행성으로 보이는 물체를 발견하였습니다. 이 국장은 개인적으로, 자기가 발견한 소행성을 이라고 명명하고 우리 나라를 방문하여 기념 강연을 가졌던 일본 아마추어 천문가 와다나베 카주오(渡 和郞) 씨에게 확인을 요망했습니다. 와다나베 씨의 확인 과정에서 이태형 사무국장이 발견한 소행성은 공식적으로 국제천문연맹(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에 의하여 인정을 받았고, 1998 SG5라는 임시 명칭을 부여받은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이 국장이 소행성을 발견한 경기도 연천 지역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로 새로 등록이 되었습니 다. 하지만 중앙일보 김창엽 기자가 와다나베 씨를 통하여 이를 알아내고 오늘(11월 5일) 이태형 씨와 인터뷰를 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에 우선 긴급히 보도 자료를 보내드립니다. 현재 천문대는 아직 사진도 입수하지 못한 상 황입니다. 계속 자세한 보도자료를 보내드리겠습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