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Total 885 RSS
31 2003-03
2003년 별의 축제
No. 105
 - 4월 별나들이 -   한국천문연구원(원장:조세형)은 과학의 달을 맞아 전국 13개 교육과학원, 9개 공.사립천문대 등 22개 기관과 함께 2003년 별의 축제를 실시합니다. 이번 별의 축제는 각 기관의 실정에 맞게 행사 일시와 행사 내용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별의 축제는, 4월 9일 16시부터 22시까지 대전 대덕연구단지내 한국천문연구원 본원에서, 경북 영천의 보현산천문대에서는 5월 5일(어린이날) 각각 행사를 개최합니다. 이번 행사에는 소형 망원경을 통한 천체관측, 천체영화상영, 연구실 소개, 전시관 및 천체 사진 관람, 천문퀴즈 맞추기, 천문저울을 통한 태양계 중력체험등 체험 행사를 갖는다. 한국천문연구원과 각 기관의 자세한 행사 내용은 별첨과 같습니다. 별첨 1.과학의 달 2003 별의 축제 행사계획. 끝 연락처: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조명진 전화: 042-865-3226
17 2003-03
한국가상천문대
No. 104
- 망원경 없이 우주를 관측한다 - 사장된 관측자료의 재활용으로 우주의 신비 규명 국가간 Network 구축으로 전세계의 관측자료를 한자리에 1. 한국가상천문대란 ? 가상천문대란 ? 세계 각 나라가 자국이 보유하고 있는 망원경으로 그 동안 관측한 자료를 한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시켜 놓고 누구나 인터넷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가상의 천문대. 즉, 가상천문대는 컴퓨터 안에 가상의 망원경이 있고, 그 망원경으로 원하는 관측자료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그림 1 참조). 가상천문대는 국가별로 구축되고 있다. 그림1. 컴퓨터 안에 들어있는 망원경과 관측자료 국제가상천문대연맹이란 ? 세계 각국의 가상천문대 간의 상호 협력을 목적으로 만든 조직. 국제가상천문대연맹은 궁극적으로 개개의 국가가 구축한 가상천문대를 하나로 연결하는 그리드(grid)망의 구축과 각 나라의 관측 자료간의 표준화, 자료처리 프로그램 공동 개발 등에 대해 상호 조정한다. 한국가상천문대란 ? 국내의 천문대 즉, 한국천문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소백산천문대, 보현산천문대, 대덕전파천문대와 대학 소유 천문대가 지금까지 관측한 자료를 한국천문연구원 전산 시스템에 입력해 누구나 쉽게 인터넷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장기적으로는 세계 여러 나라의 가상천문대와 연결해 전 세계의 모든 관측자료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그림 2 참조). 2. 가상천문대의 장점 ① 시간 및 비용 절감 관측자는 가상천문대에서 자신이 원하는 관측자료가 있는지 먼저 확인하고, 있다면 실제 망원경으로 관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망원경을 사용해 관측할 경우 사용권 신청 후 몇 달이 지나야 실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상천문대에서 자료를 찾을 수 있으면 연구 기간을 몇 달이나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상천문대는 관측자료를 원하는 수준까지 분석해 제공하기 때문에 자료를 분석하는 데에도 시간과 예산을 절약할 수 있다. ② 망원경 수의 최소화 가상천문대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관측자의 50 % 이상이 가상천문대에서 자료를 찾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망원경 설치를 국가에 요구하는 빈도도 낮아질 것이다. ③ 획기적 연구가 가능해 진다. 과거 특정한 시각의 특정한 천체에 대한 관측자료가 필요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초신성 폭발이 발견되었을 때, 실제 폭발한 때가 언제인지 추적해 볼 수 있으며, 혜성이나 소행성이 발견되면 과거의 위치를 추적해 즉시 궤도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지구접근 소행성의 경우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궤도를 결정해야 하므로 가상천문대의 자료는 대단히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④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가상천문대 자료는 전문가뿐만 아니라 국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의 학습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일반인들도 가상천문대의 자료로 멋진 천체사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2. 추진현황 세계 가상천문대 동향 조사 한국가상천문대 설치를 위한 기본 설계 11번째 국제가상천문대연맹 회원국으로 가입(03년 2월) 한국가상천문대 구축을 위해 국내 망원경 관측자료 수집 중 3. 향후계획 한국가상천문대 구축('02년 ∼'06년) -보현산천문대,소백산천문대,대덕전파천문대,한국우주전파관측망, 우주자외선분광 관측자료 DB 구축 -관측자료의 표준화 및 자료처리 프로그램 개발 -국제 공동 협력 추진   가상천문대 홈페이지 : http://kvo.kao.re.kr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장 김봉규 (042-865-3228/011-9837-3228)  
17 2003-03
천문우주정보센터 구축
No. 103
- 천문우주과학의 모든 정보 인터넷을 통해 제공 - 천문우주과학 학술자료 DB 구축 대국민 천문우주정보 DB 구축 1. 개발배경 개발배경 - 학술자료의 DB 구축으로 천문우주 연구의 인프라 구축 - 대국민 천문우주 정보 DB 구축으로 국민 과학화 이바지 2. 개발현황 개발내용 ※ 천문우주정보센터 홈페이지(http://kadc.kao.re.kr)를 방문하면 확인 가능 ① 천문우주 학술자료의 DB 구축(진행 중, 2005년 완성) - 학술논문 DB 구축 : 천문학회지, 우주과학회지 등 - 고천문자료 DB 구축 : 삼국시대 이후 고천문 관측자료 -국제학술논문 색인 : NASA ADS(Astrophysical Data Sysyem) 미러 사이트 운영 - PC Cluster 구축 - GPS 서비스 ② 대국민 천문우주 자료 DB 구축(완료) - 이달의 천문현상 : 매월 주요 천문현상, 별자리 그림 - 음·양력 변환 : 음력 ⇔ 양력 변환 - 해·달 출몰시각 : 해·달·행성들의 지역별 출몰시각 - 세계의 천문소식 : 세계 주요 천문 소식 제공 - 질문상자 : 각종 질문에 대한 응답 - 어린이 천문학 :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 - 세계의 달력 : 세계 각국의 표준시, 공휴일 정보 제공 - 천체사진 : 한국천문연구원 촬영 천체 사진을 설명과 함께 제공 - 별자리 : 별자리 전설 등을 그림과 함께 제공 - 망원경 : 원리, 사용법 등의 정보 제공 - 태양계, 별, 성운과 성단, 은하와 우주, 우주과학 : 천문학 전반에 대한 설명 - 고천문학 : 고천문대, 고천문도, 고천문학자 등의 정보 제공 → 천문우주정보센터 홈페이지 구축 http://kadc.kao.re.kr 개발의 의미 - 천문우주과학 연구의 인프라 구축 - 국민들의 천문우주과학에 대한 궁금증 해소 - 과학교사들의 강의 자료 제공 → 청소년들의 이공계 기피현상 해소 3. 개발성과 및 향후계획 개발성과 - 대국민 천문우주과학 정보 DB 구축 - 대국민 천문우주과학 정보 제공 - 천문우주과학 학술자료 DB 구축(2005년 완성) - 천문우주과학 연구 인프라 구축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장 김봉규 (042-865-3228/011-9837-3228)  
12 2003-03
No. 102
한국천문연구원은 2004년도 월력요항을 발표하였다. 2004년은 갑신년(甲申年), 원숭이해로 단군 개국 4337년이 된다. 2004년은 52일의 일요일과 16일의 법정공휴일(설날, 추석 연휴 포함)을 합하여 총 공휴일 수는 68일이 되나 법정공휴일인 현충일(6월 6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이 일요일과 겹치므로 실제 공휴일 수는 65일이다. 이것은 2003년의 실제공휴일 수 67일보다 2일이 적다. 그리고 2일이 계속되는 연휴는 4회로 삼일절인 3월 1일(월), 식목일인 4월 5일(월), 제헌절인 7월 17일(토), 기독탄신일인 12월 25일(토)이 있고, 3일이 계속되는 연휴는 1회로 설날 연휴인 1월 21일 - 23일(수, 목, 금)이 있으며, 4일이 계속되는 연휴로는 1회로 추석 연휴인 9월 27일 - 29일(월, 화, 수)이 일요일과 연결되어 있다. 연락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안영숙 책임연구원 전화: 042-865-3220
05 2003-02
No. 101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조세형, 趙世衡) 에서는 오는 2월17일(월) 과 18일(화) 오후 2시부터 두시간 동안 대덕연구단지내 한국천문연구원서 겨울방학 중 청소년을 위한 연구원 방문의 날 행사를 실시합니다. 이 행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구원 소개 및 천문상식 알기, 퀴즈 맞추기, 기념품추첨 (강당) @ 지역천문대 소개 패널 전시, 행성입체사진관람, 중력저울체험 (강당로비) @ 전시관 관람 (전시관) @ 굴절망원경, 반사망원경, 쌍안경 조작해보기, 고천문기기 설명 (간의주변) @ 태양망원경으로 흑점관찰하기 (태양망원경동) @ 전파망원경 관람 (전파망원경동) 이 행사에 참가를 원하는 분은 누구나 예약 없이 당일 대덕연구단지내 한국천문연구원으로 오시면 됩니다.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042-865-3226 (조 명 진)
30 2002-10
국제천문올림피아드 은상2, 동상1 획득
No. 100
  국제천문올림피아드 첫 참가, 은상 2, 동상 1 획득  지난 10월 22일 ∼ 10월 29일 러시아의 카우카수스(Caucasus)에서 개최된 제 7 회 국제천문올림피아드 대회에 참가한 3명의 한국 학생 모두가 각각 은상 2과 동상 1를 획득했다. 은상 수상자는 서울과학고등학교 2학년 서 한군과 손병진군이며, 동상 수상자는 인천과학고등학교 2학년 정위석군이다. 이번 국제천문올림피아드는 또한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참가해 참가한 학생 모두가 수상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한국천문학회(회장 김철희)와 한국천문연구원(조세형)은 이공계의 우수인력 확보와 기초과학의 발전을 위해 2001년부터 매년 국내 천문올림피아드를 공동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한국천문올림피아드에 선발된 학생들은 방학 중 직접 교육 및 인터넷 교육과 여러 차례에 걸친 시험을 통해 최종적으로 국제올림피아드에 참가할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문의 : 한국천문학회 천문올림피아드 간사 박용선 교수(서울대,02-880-8979),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장 김봉규(042-865-3228, 011-9837-3228)
07 2002-10
Astrofest 2002 개최
No. 99
한국천문학회(회장 김철희)와 한국천문연구원(원장 조세형) 및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회장 이태형)는 청소년들의 우주에 관한 이해 증진과 국민과학화를 위해 한국우주정보소년단과 한국과학문화재단의 후원으로 다음과 같이 "Korean Astrofest 2002 (대한민국 별 축제 2002)"를 공동으로 주최합니다. -  다  음 - ○ 일  시 : 10월 13일(일) 오후 4시 ∼ 22시 ○ 장  소 : 한강 잠실 선착장 옆 트랙구장 ○ 입장료 : 무료 ○ 행사 내용  - 강연 : 조경철, 김봉규, 박석재 박사  - 주·야간 천체 관측 (가을밤 별자리, 해 흑점, 달, 금성, 이중성 등)   ※ 망원경 10대 이상 동원, Astro-Car 동원  - 대학, 연구소, 천문동아리 코너  - 천문학자와의 만남(청소년 진로 상담 등)  - 가을밤 작은 음악회  - 천문 퀴즈(푸짐한 상품)  - 천체 사진 전시  - 태양계 저울 체중 측정  - 달 표면 동영상 현장 중계  - 이동식 플라네타륨 상영 ※ 우천시 혹은 날씨가 흐리면 천체 관측 행사는 취소됨 ○ 시간별 행사 프로그램   행사 문의처 :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02-587-3246)  - 박석재, 한국천문학회 홍보위원장(042-865-3213)  - 김봉규,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장(042-865-3228)  
27 2002-09
한-일 양국 VLBI 공동연구 협력 협약식
No. 98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조세형)과 일본 국립천문대(대장 : 카이후 노리오)는 양국의 VLBI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상호 기술 및 인력 교류와 공동연구를 위한 협정을 오는 9월 27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체결하였습니다.(한국천문연구원 보도자료 0209-2 내용 참조).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연구부 부장 민영철 박사(042-865-3263)
23 2002-09
No. 97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조세형)과 일본 국립천문대(대장 : 카이후 노리오)는 양국의 VLBI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상호 기술 및 인력 교류와 공동연구를 위한 협정을 오는 9월 27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체결할 예정이다. VLBI 시스템은 수백 km 이상 떨어진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을 동시 가동해 천체를 관측함으로써 우주의 미세한 구조를 규명함은 물론 지각변동의 연구 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한국천문연구원은 서울, 울산 및 제주도에 2007년까지 전파망원경 1대씩 설치할 예정이며, 일본 국립천문대는 이미 일본 각지에 4대의 전파망원경을 설치하였다. 이번의 협력 체결은 궁극적으로 양국의 VLBI 시스템을 연결한 공동망 구축으로 세계 최고 성능의 관측을 수행하는데 있다.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연구부 부장 민영철 박사(042-865-3263)
10 2002-09
No. 96
한국천문연구원(원장 조세형, 趙世衡)은 다음과 같이 인사발령을 실시하였습니다. ▶ 광학천문연구부장 겸 보현산천문대 그룹장  한인우(韓麟愚) ▶ 전파천문연구부장 민영철(閔泳澈) ▶ 우주과학연구부장 한원용((韓源用) ▶ 응용천문연구부 부장 직무대리 박필호(朴弼鎬) ▶ 소백산천문대그룹장 김호일(金豪一) ▶ 대덕전파천문대그룹장 이창훈(李昌勳) ▶ 천문정보연구그룹장  김봉규(金奉奎) ▶ 기획실장  곽우근(郭雨根) ▶ 행정실장  이은호(李銀頀)               ▶ 기획팀장  윤완영(尹完榮)       ▶ 예산연구관리팀장 지청윤(池淸奫) ▶ 총무팀장 지용구(池龍球) ▶ 회계팀장 김웅중(金雄中) ▶ 시설팀장 윤영재(尹永載)              이상 9월 11일부. 끝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총무과(042-865-3331, 3334)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