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Total 886 RSS
04 2000-04
No. 46
Untitled 일련번호:AO-PR 0004-1   배포일자:2000년 4월 4일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문서내려받기(0004-1.hwp) 제목 : 2000년 별의 축제 개최  한국천문연구원 (원장:李愚伯)은 과학의 달을 맞아 전국 9개 교육과학원, 2개 공립 천문대, 6개 사립천문대 등 17개 기관과 함께 2000년 별의 축제를 실시한다. 이번 별의 축제는 각 기관의 실정에 맞게 행사 일시와 행사 내용을 달리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과 각 기관의 행사 일시는 표 1과 같다. 한국천문연구원 제26회 별의 축제는, 4월 17일에는 19시부터 22시까지 대전 대덕연구단지 한국천문연구원 본원에서, 4월 18일부터 19일에는 19시부터 21시까지 경북 영천의 보현산천문대에서 각각 행사가 열린다. 금년 행사에는 소형 망원경을 통한 천체관측과 함께 연구 현장 방문, 전시관 및 천체 사진 관람, 플라네타륨을 이용한 별자리 찾기 등 다양한 체험 행사를 갖는다. 행사의 자세한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1. 별의 축제 행사기관 및 행사일시 한국천문연구원 행사 주관기관 장소 기간 연락처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4월17일  (19시부터 22시까지) 042-865-3227 보현산천문대 보현산천문대(경북영천) 4월18일 ~19일(18시부터 21시까지) 0563-330-1000 과학교육 연구원, 공립 천문대, 사설 천문대 과학교육연구원 행사 주관기관 장소 기간 연락처 강원도교육과학연구원 강원도교육과학연구원 4월12일 (19시부터 22시까지) 0361-251-6426 광주시교육과학연구원 광주시교육과학연구원 4월10일 (19시부터 21시까지) 062-230-3557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4월19~21일(18시부터 21시까지) 0331-250-1733 경남교육과학연구원 경남교육과학연구원 4월17일 (19시부터 21시까지) 0551-246-6417 경북교육과학연구원 경북교육과학연구원 4월18~19일(19시부터 21시까지) 0562-248-9988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대전교육과학연구원 4월11일 (19시부터 22시까지) 042-865-6383 부산교육과학연구원 부산교육과학연구원 4월18~19일(16시부터 22시까지) 051-750-1221 전남교육과학연구원 전남교육과학연구원 4월21일 (10시부터 22시까지) 0613-331-2812 제주시교육과학연구원 제주시 탑동광장 4월12일(19시부터 22시까지) 064-758-9962 공립천문대(공립천문대는 시설사용료, 숙박등의 조건을 연락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관기관 장소 기간 연락처 평창 청소년 수련원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백옥포리 산 154-1번지 매일 0374-333-0857 양평국제천문대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양평청소년수련원 내 매일(19시~22시) 02-582-3346 0338-771-6304 사설천문대(사설천문대는 시설사용료, 숙박등의 조건을 연락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관기관 장소 기간 연락처 선두천문대 충북 진천군 만승면 광혜원 526번지 4월 주말 0434-535-1014 성암천체관측소 전남 담양군 수복면 대방리 산 76번지 4월 21~23 0684-328-7456 세종천문대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부평1리 472-2 4월 주말 0337-886-4147 안성천문대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강덕리 79-14 4월 주말 0334-677-2245 코스모피아 경기도 가평군 하면 상판리 86번지 4월 주말 0356-585-0482 테코천문대 불광중학교 (서울 은평구 불광동 소재) 4월14일(19시~ 21시) 02-353-0792   표 2. 한국천문연구원 별의 축제 행사 내용   제 목 내 용 관측대상 장비 장소 천체관측 안시관측 달, 화성, 토성 성운, 성단 -6인치 쌍안경 -90미리 굴절망원경(2대) -80미리 굴절망원경 -5인치 반사망원경(2대) -6인치 반사망원경 -8인치 반사망원경(3대) -4인치 굴절망원경 본원 마당 및 태양돔 CCD 관측 달, 화성, 성단 -5인치 굴절 망원경 +ST7+ Note Book PC   비디오 관측 달 화성 -4인치 굴절 망원경 + 비디오카메라 + 텔레비젼 모니터   시설관람 전파망원경 시설견학 -14m 전파망원경 대덕전파 천문대 GPS 시스템 GPS 실습 -GPS 관련 장비 본원 마당 우주과학 소개   -포스터 (연구 내용) 전시동 로비 비디오 상영 천문학 이해   -태양계 천문 비디오 강당 전시관 관람 천체의 전시물 모든천체   전시관 사진 및 유물전시 천체사진 판넬 고천문 유물   -천체사진 패널, 고천문유물 전시동 천문저울 전문중력저울 태양계 중력측정 -천문저울 5개 별관 1층로비 프라네타륨 별자리 찾기 봄의 별자리 -간이 프라네타륨 및 돔 본원 마당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28 2000-02
No. 45
Untitled 일련번호:KAO-PR 0002-2   배포일자:2000년 2월 28일                    ;         한국천문연구원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 2001년 월력요항 발표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李愚伯)은 2001년도 월력요항을 발표하였다.   2001년(辛巳年, 뱀의 해)은 단군 개국 4334년으로 음력 4월에 윤달이 있다. 2001년은 52일의 일요일과 16일의 법정공휴일(설날, 추석연휴 포함)을 합하여 총 공휴일 수는 68일이 되나 법정공휴일인 추석 연휴(9월 30일)가 일요일과 겹치므로 실제 공휴일 수는 67일이 된다. 이는 2000년의 실제 공휴일 수 68일보다 하루가 적다. 그리고 이틀이 계속되는 연휴는 2회로 신정인 1월 1일(월)과 어린이날인 5월5일(토)이 일요일과 연결돼 있다. 3일이 계속되는 연휴는 1회로 설날 연휴인 1월 23일 - 25일(화, 수, 목)이 있고, 4일 연휴는 추석 연휴인 9월 30일 - 10월 2일(일, 월, 화)과 10월 3일의 개천절과 연결되어 있다. (※ 상세한 자료는 한국천문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 http://hanul.issa.re.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문의전화 042-865-3220, 안영숙 연구원)   2001년 월력요항.hwp 2001  월 력 요 항 ==================      *** 주의 사항 *** 1.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제공하는 본 자료는 연구원의 허락 없이 제 3자에게 양여 할 수 없습니다 2. 본 자료를 제공 받은 후, 그 제공 목적이외에 다른 영리를 추구하는 업무에 이용하려 할 때는    한국천문연구원의 허락을 얻어야 합니다. ** 본 자료에 게재된 시각들은 일광절약제를 적용하지 않은 시각입니다. 가. 국경일과 법정 공휴일 명    칭   일   자 요  일 명   칭  일  자  요  일 신      정   1월      1일 월 현 충 일 6월      6일 수 설날(연휴) 1월 23일- 1월 25일 화,수,목 제 헌 절 7월     17일 화 삼  일  절  3월      1일 목 광 복 절  8월     15일 수 식  목  일  4월      5일 목   추석(연휴) 9월 30일- 10월 2일 일, 월, 화 석가탄신일 5월      1일 화 개 천 절  10월     3일 수 어린이  날 5월      5일 토 기독탄신일  12월    25일 화      나.  2001년도 일요일의 날짜 월 일 요 일 월 일 요 일 1 7   14   21   28      7 1    8   15   22   29    2 4   11   18   25 8 5   12   19   26 3 4   11   18   25 9 2    9   16   23  30 4 1    8   15   22   29 10 7   14   21   28   5 6   13   20   27 11 4   11   18   25   6 3   10   17   24   12 2    9   16   23   30    총 일요일 수 : 52일                    ;                 &nbs p;               휴무일 수 : 52 + 16 - 1 = 67일 다.  24절기와 잡절(2001)  명   칭 태 양 황 경  일자와  시각   (한국  표준시) 명   칭 태 양 황 경  일자와  시각     (한국  표준시)   도 월   일   시  분   도 월   일   시  분 소   한 285 1   5   15  49 소   서 105 7   7   10   6 대   한 300 1  20    9  16 대   서 120 7  23    3  26 입   춘 315 2  4     3  28 입   추 135 8   7   19  52 우   수 330 2  18   23  27 처   서 150 8  23   10  26 경   칩 345 3   5   21  32 백   로 165 9   7   22  46 춘   분 0 3  20   22  30 추   분 180 9  23    8   4 청   명 15 4   5    2  24 한   로 195 10   8   14  24 곡   우 30 4  20    9  35 상   강 210 10  23   17  25 입   하 45 5   5   19  44 입   동 225 11   7   17  36 소   만 60 5  21    8  44 소   설 240 11  22   15  00 망   종 75 6   5   23  53 대   설 255 12   7   10  28 하   지 90 6  21   16  37 동   지 270 12  22    4  21 토왕용사 297 1  17   10  33 한    식          4   5 토왕용사 27 4  17    7  55 단    오          6  25 토왕용사 117 7  20    0   2 초    복          7  16 토왕용사 207 10  20   17   4 중    복          7  26       말    복          8  15     라.  정부주관 기념일(2001) 명 칭 일 자 요 일 명 칭 일 자 요 일      월   일        월   일   납세자의   날   3    3    토 환경의  날   6    5   화   상공의   날 3   21 수 바다의   날 5   31 목 물의     날 3   22 목 6.25 사변일  6   25 월 기상의   날 3   23 금 철도의  날 9   18 화 향토예비군의 날 4    7 토 국군의  날 10    1 월 보건의   날 4    7 토 노인의  날  10    2   화 임시정부수립기념일 4   13 금 한  글  날 10    9 화 4.19혁명 기념일 4   19 목 체육의  날 10   15 월 장애인의 날 4   20 금 문화의  날 10   20 토 과학의   날 4   21 토 경찰의  날 10   21 일 정보통신의   날 4   22 일 국제연합일 10   24 수 충무공 탄신일 4   28 토 저축의  날 10   30 화 법의   날 5    1 화 학생의  날 11    3  토 근로자의 날 5    1 화 소방의  날  11    9 금 어버이   날 5    8 화 농업인의 날 11   11 일 재향군인의 날 5    8 화 순국선열의 날 11   17 토 스승의   날 5   15 화 무역의  날 11   30 금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5   18 금 소비자 보호의 날 12    3 월 발명의   날 5   19 토 국민교육헌장 선포 기념일 12    5 수 성년의   날 5   21 월 세계인권선언기념일  12   10 월 방재의   날 5   25 금 민방위의 날 매월 15일     마.  음력 - 양력 대조표(2001) 음력의 월일 대 소 월 건 양력의 월일(합삭시각)       년     월  일     년    월  일   시  분 2000     12   1 소 기  축 2000    12   26    2  21 2001      1   1 대 경  인 2001     1   24   22   6 2001      2   1 대 신  묘  2001     2   23   17  20 2001      3   1 대 임  진 2001     3   25   10  20 2001      4   1 소 계  사 2001     4   24    0  25 2001   윤 4   1 소   2001     5   23   11  45 2001      5   1 대 갑  오 2001     6   21   20  57 2001      6   1 소 을  미 2001     7   21    4  44 2001      7   1 소 병  신 2001     8   19   11  55 2001      8   1 대 정  유 2001     9   17   19  27 2001      9   1 소 무  술 2001    10   17    4  23 2001     10   1 대 기  해 2001    11   15   15  39 2001     11   1 소 경  자 2001    12   15    5  47 2001     12   1 대 신  축 2002     1   13   22  28 (음력 : 대 ->30일 소 -> 29일) 바. 각월의 1일의 일진(2001) 음력의 월일 일 진 년     월  일   2001      1   1 정 해 2001      2   1 정 사 2001      3   1 정 해 2001      4   1  정 사 2001   윤 4   1 병 술 2001      5   1 을 묘 2001      6   1 을 유 2001      7   1 갑 인 2001      8   1 계 미 2001      9   1 계 축 2001     10   1 임 오 2001     11   1  임 자 2001     12   1  신 사 2001년 월력요항.hwp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08 2000-02
No. 44
Untitled 일련번호 : KAO-PR 0002-1   배포일자 : 2000년 2월 8일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 태양 활동 23주기 극대기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李愚伯)은 금년 3월에서 6월 태양 흑점수가 최대가 되어 태양활동이 극대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하였다. 태양은 약 11년을 주기로 흑점수가 증가 하였다가 감소하는데 올해는 1700년대 중엽 태양흑점을 관측한 이래 23번째 극대기인 23주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예상은 그 동안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보현산천문대 태양플레어 망원경과 태양흑점 망원경을 이용한 태양활동 감시 결과 나타났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관측한 지난 15년간의 태양 흑점수의 변화 추이 (그림 1, 그림 2)를 조사한 결과  최근에 흑점수와 태양표면의 활동영역이 발생하는 빈도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어 지난 1989년 22주기 극대기와 비슷하거나 약간 강력한 태양활동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이 보현산천문대 태양플레어 망원경으로 태양활동을 감시한 결과 극소기 때의 1달에 1 ~ 2회보다 훨씬 많은 1일 5 ~ 8회 정도 중간급 정도의 플레어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   한편 미국 NASA 와 우주환경 예보 센터의 관계 전문가들도 이번 극대기의 태양 활동 지수는 지난 22주기 때와 비슷하거나 약간 강한 정도의 활동 현상을 보이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주기때 보다 인공위성의 수가 증가한 점등 우주 공간에서 인류의 활동이 더 많아진 점에서 더욱 세심한 관측이 필요할 것으로 발표하고 있다.   태양의 흑점수가 많아지면 태양 표면에서 플레어나 홍염과 같은 폭발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태양풍의 강도가 강해지고 코로나 물질분출 현상(CME : Coronal Mass Ejection)이 자주 일어난다. 태양풍이나 CME는 태양에서 우주 공간으로 불어나가는 초속 500 Km 이상의 거대한 플라즈마 흐름으로 이것이 지구를 향하여 불어 오면 지구 상층권인 전리권과 자기권에 급격한 물리적 변화를 일으키게 되어 위성통신, 전기, 송유관, 항법 장치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재해를 일으키게 된다.   태양풍이나 CME가 포함하고있는 고 에너지 입자(강 X-선, 감마-선)들은 인공위성의 내부 컴퓨터 칩을 손상시켜 수명을 단축  시키며 고공 비행을 하는 우주 비행사나 항공기 승객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대량의 전자와 양성자가 몰려 오면서 전리층의 밀도를 증가시켜 인공위성의 자세 제어를 어렵게 하고 위성 통신 교란이나 단절을 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자기권에 잡힌 전자들은 지자기 폭풍을 유발하여 지상의 고압선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면서 대형 정전 사고를 일으키며 송유관의 부식을 가속화  시킨다. 또한 GPS위성의 자세 불안정과 전리권의 밀도 증가 때문에 항공기나 선박 등의 항법장치의 오차가 증가하고 미사일을 발사하게 되면 탄착점 이탈 사고가 일어나므로 미 공군에서는 24시간 태양 활동을 감시하고 있다. 미국 우주 환경예보센터의 D. James Baker 박사의 연구 보고에 의하면 미국에서 태양 활동 현상 때문에 발생하는 년 평균 피해액은 수 십억 달러에 이르며 이와 관련된 사고는 주로 새벽 시간대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태양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분야의 직ㆍ간접적인 피해가 예상되므로 가능하면 자주 인터넷 Web site를 방문하여 태양 활동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 태양망원경의 홈페이지에 우주 환경예보와 관련된 인터넷 Web site를 접할수 있 다.(http://www.boao.re.kr/~yjmoon/space_e nviron ment_kor.html).   태양의 표면에서 플레어나 홍염과 같은 활동 현상이 일어나서 그 영향이 지구에 미치는 시간은 짧게는 1~2시간 이지만 일반적으로 태양풍이 직접 지구에 도달하는 시간은 2~3일 정도 걸린다. 그러므로 미국의 경우에는 태양 활동 현상이 발생하면 TV news로 알려주고 일본은 공중전화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우주환경 예보 연구는 선진국은 물론이고 중국이나 러시아, 동유럽 국가 등 저개발 국가에서도 활발하게 수행되며 최근에는 북한에서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천문연구원에서 흑점수 변화 추이 조사와 태양플레어망원경을 이용한 태양표면의 활동현상을 감시하고 있고, 전파연구소에서 지구 전리권의 전자 밀도 측정을 수행하고  있으나 초보적인 단계에 불과하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은 이 분야의 기초 연구 일환으로 러시아와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하여 개기일식의 공동 관측 및 태양 코로나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전파연구소와 함께 국내 관련 학자들과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학ㆍ연 공동 연구를 수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우주환경예보의 체계적인 수행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우리가 앞으로 국제 경쟁력을 갖는 자체적인 우주 환경 예보 시스템의 구축이 필수 적이다. * 그림 설명 그림 1. 한국천문연구원이 관측한 지난 13년간의 흑점수 변화 추이. 그림 2. 태양흑점 사진. 그림 3. 보현산천문대 태양플레어 망원경으로 관측한 1999년 12월 28일 중간 세기의 플레어.         시간은 세계시 (한국시간=+9시간) 그림 4. 태양관련 이미지모음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 박영득 (ydpark@boao.re.kr) 전화 : 042-865-3256, 0563-330-1033
03 1999-12
No. 43
일련번호:KAO-PR 9912-1 배포일자:1999년 12월 3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 독수리자리에 맨눈으로 관측 가능한 신성 출현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 李愚伯)은 국제천문연맹에서 독수리자리에 밝은 신성 출현을 알려왔다고 발표한다. 독수리 자리 신성 1999 No. 2로 명명된 이 신성은 포르투갈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알프레도 페레이라가 12월 2일 (현지시 각 1일 19시) 독수리자리 델타별로부터 북북서로 2도 떨어진 지점에서 6등성으로 빛나는 이 별을 14x100 쌍안경을 이용하여 발견하였다. 국제천문연맹에 의하여 독수리자리 V1494 (V1494 Aquilae) 별로 확인된 이 별의 원래 밝기는 10.5등성이었으나 발견될 당시에는 60배정도 밝아진 6등성이었고, 12월 3일 새벽 4시 (우리나라시각) 경에는 500배나 밝아진 3.7등성 으로 관측되어 원만한 지역에서도 맨눈으로 관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이 신성이 이처럼 밝아진 이유는 초당 약 1000km 이상의 속도로 가스를 방출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신성은 1975년 발견된 백조자리 V1500 신성 (V1500 Cygni, 최대밝기 1.6등급) 이후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는 신성 중에서 가장 밝은 신성이다. 신성의 종류는 너무 다양하여 이 신성에 대하여 앞으로의 밝기 변화 추이를 예측할 수 없으며, 또한 이 별에 대한 거리, 질량, 크 기 등은 특별히 알려진 것이 없다. 이 신성은 우리 나라에서는 초저녁에 서쪽하늘에서 도심 불빛에서 벗어나 주위가 어두운 시골에서 맨눈으로 견우 성 (독수리자리 알파성)에서 서남서쪽으로 약 10도 떨어진 지점에서 관측할 수 있다. 신성은 온도가 높은 어두운 왜성이 폭발하여 수 시간에서 수개월 동안 밝기가 600배 - 200만 배 (7등급에서 16등 급) 밝아졌다가 원래 밝기를 회복하는 일종의 변광성으로 밝기 변화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누어진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30 1999-11
개기월식
No. 42
일련번호 : KAO-PR 0007-2 배포일자 : 2000년 7월 5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개기월식 -20세기 마지막 개기월식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李愚伯)은 오는 7월 16일 우리 나라 전역에서 볼 수 있는 개기월식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예보합니다.  진행상황 시각(한국표준시) 반영식의 시작① 7월 16일 19시 46.6분 월식의 시작② 20시 57.2분 개기월식의 시작③  22시 02.0분 월식의 최대④  22시 55.5분 개기월식의 종료⑤ 23시 49.0분 월식의 종료⑥ 7월 17일 00시 53.8분  반영식의 종료⑦ 02시 04.5분 그림으로 나타낸 진행상황은 다음과 같다. ※ 그림 해설 - 달이 1∼2 및 6∼7 사이에 있을 때에는 태양 빛의 일부만 달에 도달하고 나머지는 지구에 가려 달의 모습이 약 간 희미하게 보인다. 즉, 반영식(반 그림자) 상태임. - 달이 3∼5 사이에 있을 때에는 지구에 의해 태양이 완전히 가려진다(개기월식). 그러나 태양 빛의 일부(주로 붉 은 빛)는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달에 도달되며, 따라서 개기월식이 일어나도 달은 검붉은 색으로 보인 다. ※ 참고사항 이날 해는 19시 53분(서울 기준)이 지므로 일몰 약 6분전부터 월식이 시작되고, 달은 19시 42분에 뜨므로 월출 5 분 후부터 반영식이 시작된다. 이번 현상은 20세기 최후의 개기 월식이다. 이번 개기월식은 97년 9월 17일 이후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이며, 다음 개기월식은 2001년 1월 10일에 있을 예정이 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30 1999-11
리니어 혜성 사진 공개
No. 41
일련번호 : KAO-PR 0006-1 배포일자 : 2000년 6월 20일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 리니어 혜성 사진 공개 한국천문연구원(원장:李愚伯)의 NEO(지구 접근 천체)연구실(국가지정연구실)과 Astro 21 팀은 지난 6월 15일 새벽 에 소백산천문대 61cm 망원경으로 촬영한 리니어 혜성(C/1999 S4)의 촬영 사진을 공개한다. 리니어 혜성은 비주기 혜성(다시 돌아오지 않는 혜성)으로 오는 7월 25일 경에 지구에 가장 접근하게 되면 5.5 등급까지 밝아져 소형 쌍안경으로도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며, 따라서 지난 1995년에 발견된 헤일-밥 혜성 이후 최대로 밝은 혜성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09 1999-11
수성의 태양 면 통과
No. 40
일련번호:KAO-PR 9911-2 배포일자:1999년 11월 9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 수성의 태양 면 통과 한국천문연구원(원장 李愚伯)은 이 현상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달리 나타나며, 우리 나라의 경우 아침 6시 15분에 시작해서 7시 8분(포항 기준) 에 종료된다. 이 현상은 제주도 및 경상도 지역에서만 관측이 가능하다. 기타 지역에서는 현상이 종료된 뒤에야 해 가 뜨기 때문이다. 관측이 가능한 지역에서도 현상이 어느 정도 진행된 이후에 해가 뜨므로 이 현상을 처음부터 관 측할 수는 없다. 또한 관측이 가능한 지역이라 할 지라도 해가 뜨는 방향에 산이 가려져 있으면 관측이 불가능하 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발표하는 일출 시각은 지평선 상에서 해가 뜨는 시각이기 때문이다. 그런 지역에서 이번 현상을 관측하려면 산의 정상에 올라가야 된다. 참고로 높은 산에 올라갈수록 해가 일찍 뜨기 때문에 관측이 용이 하다. 관측자의 관점에서 보면 이 현상은 해가 뜰 때 수성이 해의 왼쪽 변두리 아래에서 위로 통과한다(그림 참조). 수 성의 태양 면 통과는 금세기 중 13번이 있고, 이번이 금세기의 마지막이다. 또한 가장 최근에는 1993년 11월 6일 에 이 같은 현상이 있었고, 금후에는 2003년 5월 7일에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번 현상은 맨눈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하며 소형망원경 등을 이용해야 관측이 가능하다. 특히 맨눈으로 태양을 보는 경우 실명의 위험이 있다. 소형망원경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태양 필터를 사용해야 한다. 필터 없이 망원경으 로 태양을 보면 극히 위험하다. 진행 시간표(포항 기준) 1차접촉 2차접촉 식의 최대 3차 접촉 4차접촉 6시 15분 6시 29분 6시 42분 6시 55분 7시 8분 ※ 1차 접촉 : 수성의 한쪽 끝 부분이 태양 면에 접촉(식의 시작) 2차 접촉 : 수성의 전부가 태양 면에 들어옴 3차 접촉 : 수성의 일부가 태양 면을 빠져나감 4차 접촉 : 수성의 전부가 태양 면을 빠져나감(식의 종료)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09 1999-11
No. 39
일련번호:KAO-PR 9911-1 배포일자:1999년 11월 9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큰곰자리(북두칠성)의 새로운 유성우 출현 가능성 한국천문연구원(원장 李愚伯)은 오는 11월 12일 새벽에 북두칠성 주변에서 과거에 없었던 새로운 유성우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이 유성우는 지난 5월 12일 LINEAR(Lincoln Near Earth Asteroid Research, MIT 소 속 지구접근 소행성 연구조직)에 의해 발견된 혜성 C/1999 J3(통상 LINEAR 혜성이라 부름)의 잔해가 지구에 떨어지 는 것이다. 혜성 1999 J3는 비주기 혜성으로 9월 20일 태양을 가장 가깝게 스쳐지 나갔으며, 10월 2일에는 지구궤 도로부터 165만 km(지구-달 거리의 4.3 배)까지 접근했다. 이 접근 거리는 지난 98년 템펠-터틀 혜성이 지구 궤도 에 가장 가깝게 접근한 거리와 비슷한 값으로 템펠-터틀 혜성의 잔해는 작년 11월 18일 시간당 수백 개의 유성이 떨어지는 사자자리 유성우 현상의 원인이 되었다. 만약 유성우 현상이 나타난다면 유성이 가장 많이 떨어질 가능성 이 있는 시각은 11월 12일 새벽 4시 41분(한국시간) 경으로 우리 나라와 그 주변 국가가 최적의 관측지가 될 것이 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이번 LINEAR 혜성 역시 많은 유성을 지구에 뿌릴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다수의 천문학자들은 이 혜성이 잔해를 거의 남기지 않았을 것을 것이며, 따라서 유성우 현상도 거의 볼 수 없거나 약간 보일 뿐일 것으로 예측한다. 그 이유로는 과거에도 C/1999 J3와 같은 장주기 혹은 비주기 혜성이 여러 번 지구궤도에 접근했지만 유성우 현상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관측 사실 때문이며, 또한 C/1999 J3가 처음 발견되었을 때 혜성의 꼬리가 발달되지 않아 소행성으로 오인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꼬리가 발달되지 않았던 혜성 은 잔해를 거의 남기기 않는다. 두 개의 상반된 예측 중 어떤 것이 옳은지 현재로선 정확히 결론을 내릴 수 없지만 유성우 현상이 나타나지 않 을 가능성이 더 많다. 그러나 유성우와 같은 천문현상은 특이한 기상현상의 예보처럼 종종 예측과 맞지 않는 경우 도 발생한다. 유성우가 나타나는 중심점은 북두칠성의 국자 손잡이와 그릇이 만나는 점에 있는 별 근처이다(사진 참조). 북두 칠성은 11월 12일 새벽에 동북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이날 새벽에는 하늘에 달이 없어 날이 맑으면 유성우 관찰 이 용이하다. 유성우는 맨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날씨가 매우 추울 것으로 예측되므로 두터운 옷을 준비해야 하며 야외용 (단열이 잘되는)깔판 혹은 스티로볼 등을 준비해 앉아서 관측하는 것이 좋다. 유성을 사진에 담으려면 B 셔터(임의 노출) 기능이 가능한 수동카메라를 이용해야 한다. 필름은 고감도를 이용하 는 것이 좋다. 필름을 카메라에 장착하고 카메라를 삼각다리에 연결시킨 후 북두칠성 주변을 향하게 한 후 장기간 (10분 이내) 노출시키는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면 된다. 유성이 나타나지 않아도 노출시간이 10분이 지나면 셔터 를 닫고 새로 사진을 찍는 것이 좋다. 장시간 필름을 노출하면 필름의 감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27 1999-09
No. 38
일련번호:KAO-PR 9909-2 배포일자:1999년 9월 27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 99 한국천문학회·한국우주과학회 공동 추계학술대회 그 동안의 천문우주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우주시대를 준비하기 위하여, 한국천문학회 (학회장 李愚伯)와 한 국우주과학회 (학회장 千文碩)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한국천문연구원이 후원하는 1999년 한국천문학회·한국우주과 학회 공동 추계학술대회가 9월 30일과 10월 1일 양일간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李愚伯)에서 열 린다. 이번 학회는 항성 및 항성계, 은하 및 우주론, 태양 및 태양계, 성간물질, 천문기기, 우주관측, 지구관측, 인공위성, 위성기기 및 운용등 천문학 및 우주과학 관련 연구 논문 90여편이 발표될 예정이다. [연락처] 한국천문학회 : 한국천문연구원 한원용 박사 042-865-3255 한국우주과학회 : 연세대학교 우주망원경사업단 변용익 교수 02-361-2693 한국천문연구원 : 042-865-3226 ※기타자세한 사항은 한국천문학회 인터넷 홈페이지 http://astro.snu.ac.kr/kas/m99f-sch.htm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16 1999-09
No. 37
일련번호:KAO-PR 9909-1 배포일자:1999년 9월 16일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제목: 인 사 발 령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李愚佰)은 99년 9월 16일부로 아래와 같이 인사 이동이 있었습니다. 대덕전파천문대 대장 조세형(趙世衡) 박사 우주과학연구부 부장 한원용(韓源用) 박사 보현산천문대 대장 심경진(沈敬鎭) 책임연구원 소백산천문대 대장 김호일(金豪一) 박사 이상 대전광역시 유성구 화암동 61-1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정보연구그룹 (전 화) 042-865-3226 (FAX) 042-861-5610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